중산간 ‘오염차단’ 철저하게 대응해야
중산간 ‘오염차단’ 철저하게 대응해야
  • 뉴제주일보
  • 승인 2017.02.02 17: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일보] 제주 중산간(해발 200~600m) 일대가 개발에 무방비로 노출되면서 지하수 요염이 현실화되고 있다. 제주도가 최근 제주도의회에 제출한 ‘지하수자원 특별관리구역 확대 지정을 위한 기초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중산간 이상 지역 관정별 질산성질소 농도(㎎/L)는 2005년 0.8에서 2010년 0.9, 2015년 1.5 등 매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산성질소의 농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지하수 오염 원인이 늘었다는 단적인 증거다. 실제 중산간 이상 지역에서 이뤄진 개발행위는 2014년의 경우만 하더라도 건축물 290건과 개발행위 31건이 허가됐다. 또 개인하수처리 시설 1442곳이 새로 생겼다.

중산간 지역 평균 강수량은 저지대(200m 이하)보다 1,4배 많다. 또 단위면적당 지하수 함양량(평균 2599㎜) 역시 저지대 보다 1.5배 많다. 이 때문에 결국 제주도민들이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상수도 또한 머지않은 장래에 중산간 지하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제주도는 이처럼 중산간 지하수 오염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도내 중산간 지역 450㎢를 지하수자원 특별관리구역으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하고, 도의회에 관련 동의안을 제출했다. 동의안이 도의회에서 통과되면 중산간 이상 지역에서 신규 사설 관정 개발은 크게 제한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는 한라산을 가운데 두고 해안변까지 완만한 경사로 이어지는 지형적 특성을 간직한 곳이다. 때문에 과거 개발행위는 교통망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고 취락이 형성된 해안변 저지대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그런데 1980년대 이후 단지 또는 지구단위의 대규모 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중산간 일대에 대한 개발이 본격화 됐다. 이 과정에서 크고 작은 개인시설물까지 들어섰다. 자연스럽게 중산간 곳곳에 신규 오염원이 생겨났다. 제주도가 이제라도 중산간 지역에 대한 지하수 오염원 차단에 나선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사실 제주에서 중산간은 제주의 미래가치와 직결된 곳이다. 제주의 중산간이 파헤쳐진다면 이는 제주의 정체성 훼손과 직결된다. 제주가치로 상징되는 제주의 자연자산은 해안변을 중심으로 하는 해안풍광과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함축한 중산간이 양대 축을 이룬다. 이 때문에 그동안 해안변 및 중산간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논의되고 시행됐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고 땅값이 싼 때문에 중산간 지역은 대규모 개발사업의 주 무대가 됐다. 이 과정에서 사유재산권 보호라는 명분으로 개인시설물까지 무분별하게 들어섰다. 제주도는 중산간 지하수 자원 특별관리구역 추가지정과 함께 기존에 들어선 지하수 오염원을 근본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대책마련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중산간이 무너지면 제주가 더는 의지할 곳이 없다는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