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일보 창간 71주년 특별기획 '탄소 없는 섬' 제주...갈 길은 멀다
제주일보 창간 71주년 특별기획 '탄소 없는 섬' 제주...갈 길은 멀다
  • 김태형 기자
  • 승인 2016.12.19 19: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제주의 미래는...전기차.신재생 에너지 확대 등 도민 공감대.참여 등 절실

[제주일보=김태형 기자] 21세기 에너지 산업 시대를 맞아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제주(Carbon Free Island Jeju)’가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이끌 청사진으로 부각되고 있다.

에너지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하는 ‘그린 빅뱅(Green Bigbang)’ 시대에 있어 탄소 배출 없는 청정에너지 선순환 시스템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시대적 변화는 풍력과 태양광 등 녹색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제주에 있어서도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선도할 도전과 기회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는 오는 2030년을 목표로 ‘탄소 없는 섬’과 ‘청정에너지 자립 섬’을 만드는 야심찬 도전으로 구체화돼 현재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 100% 전환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 여건은 녹록지 않다. 전기차 보급 확대가 쉽지 않는가 하면 전력계통의 한계 상황을 극복하면서 도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공감대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기대치 밑도는 전기차 확산=도내 전기자동차 등록대수는 2014년 말 852대에서 지난해 말 2366대에 이어 올해 4500대 이상으로 급증하면서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이는 전국 전기차의 50%에 이르는 비중으로, 최적의 운행 여건을 갖춘 ‘전기차 메카’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3년 후인 2020년에 도내 운행 차량의 40%를 전기차로 대체하기 위해 보급 대수를 13만5000대 이상으로 늘리는 계획에 비해서는 턱없는 수준이다.

올해 4000대에 이어 내년 계획에 따라 7000대를 보급한다고 해도 나머지 2년 간 12만대를 늘리겠다는 계획은 현실적 여건 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나마 내년에 1회 충전으로 300㎞ 이상 주행 가능한 신차가 잇따라 출시되는가 하면 관련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면서 앞으로 지속적인 수요 증가세가 예고되고 있다. 그러나 보조금 지원과 충전 인프라 구축 확대 등을 위한 막대한 재원 확보가 관건으로 대두되고 있다.

여기에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이 기존 차량 대체 효과도 있지만 전체 차량 증가로 이어지면서 차량 억제 정책과 맞물린 보급 확대 방안이 보완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전력계통 인프라 확충 시급=‘카본 프리 아일랜드 제주’는 오는 2030년까지 1만1334GWh 규모의 총 전력 사용량을 신재생 에너지로 공급, 에너지 자립 기반을 갖추는 계획으로 추진되고 있다.

제주의 강점인 풍력과 태양광 등 풍부한 녹색에너지 자원 보유와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구축 등의 차별화된 메리트에 힘입어 청정 브랜드를 확산시킬 수 있는 새로운 성장동력 산업을 육성한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현재 송전선로와 변전소 등의 시설 용량으로는 대규모로 개발되는 풍력발전 공급량을 수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전력계통 인프라 확충이 최우선으로 뒷받침해야 하는 필요충분 요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도내 전력계통 접속 용량은 올해 263㎿에서 2018년 407㎿로 확대될 계획이나 같은 기간 풍력설비 규모도 186㎿에서 450㎿로 늘어날 전망이다. 단순 비교 시 2018년에는 전력계통 접속 용량이 한계 상황에 놓여 풍력발전 추가 건설이 불가능해지는 셈이다.

이에 대해 제주도는 변전소 용량 증대 및 신설과 역송전(도내에서 생산된 전기를 내륙으로 송전) 가능한 제3 해저연계선 설치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나 계획 이전 적기 사업 추진이 관건인 상황이다.

▲주민 참여 및 공감대 형성에 달렸다=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 100%에 초점을 맞춘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제주’는 에너지 자립 섬이라는 궁극적인 비전과 함께 도민들의 일상생활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다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도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책에 필요한 주민 참여나 공감대 형성은 아직 미흡한 게 현실이다. 실제 육상·해상 풍력발전단지 조성 계획이 지역주민 등의 반발과 환경 훼손 문제 등으로 진통을 겪는가 하면 전기차 보급 확대 역시 도민들의 확실한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확충을 위한 개발 사업에 있어 주민 지분 참여와 소득 증대방안이 미흡한데 따른 것으로, 공감대 확산에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도는 ‘지역주민 참여 방식의 풍력발전 개발’과 ‘태양광 전기 농사’ 등의 사업 추진을 통해 주민 참여 및 공감대 형성에 나서면서 결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도내 에너지학계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선진국인 독일과 덴마크의 성공 비결은 주민 참여형 사업모델로 추진하면서 공감대와 함께 주민들의 지지를 이끌어냈기 때문”이라며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제주 역시 도민 공감대와 함께 지속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끝>

김태형 기자  sumbadang@hanmail.net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