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극화 거장’의 한국만화 최초 실험과 도전
‘조선시대 극화 거장’의 한국만화 최초 실험과 도전
  • 뉴제주일보
  • 승인 2024.03.28 16: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두호의 가라사대(행복한만화가게 2008)
‘이두호의 가라사대’ 표지.
‘이두호의 가라사대’ 표지.

신구간도 아닌 요즘 부쩍 이사하는 분들의 장서 정리 문의가 늘었다. 우연의 일치인지는 몰라도 육지에서 왔다가 다시 나가시는 분들이 다수를 점한다. 그 중에는 장서가 1000권 단위를 넘는 분들도 종종 있어서 때 아닌 중노동(?)에 시달리기에 몸은 힘들지만 좋은 책들을 나눠주심에 그저 감사할 따름이다.

장서가 많은 이주민 분들은 대개 기존의 장서를 대폭 정리하고 꼭 필요한 책만 가지고 오시지만 워낙 책을 좋아하시는 분들인 관계로 금방 원상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 까닭에 이런저런 사정으로 다시 육지로 되돌아 갈 때는 마찬가지로 대폭 정리를 하고 떠나시기 마련이다.

그렇게 인수해 온 책들을 정리하다 보면 그 댁의 다른 책들과는 사뭇 분위기가 다른 게 함께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얼마 전 인수해 온 댁의 장서 가운데도 그런 책이 있었다. 대부분 엄숙한 서적들로 구성된 책들 가운데 뜬금없는 만화책이 한 권 포함돼 있었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의 귀한 작품이기에 오늘은 그 책을 소개해 보련다. 

바로 만화가 이두호(1943~) 화백의 ‘이두호의 가라사대’(행복한만화가게 2008)이다. 이 책은 오래 전 한 월간지에 수록했던 작가의 작품을 수정하고 추가로 새로 그려서 2007년 만화잡지 ‘팝툰’에 다시 연재했던 8~16쪽 짜리 단편 만화 21편을 묶는 만화집이다.

‘이두호의 가라사대’ 속 다양한 그림 기법(컴퓨터 페인터).
‘이두호의 가라사대’ 속 다양한 그림 기법(컴퓨터 페인터).

작가는 늘 ‘마감 시간에 쫓기는 연재만화의 특성상’ ‘흰 종이에 펜과 먹이라는 도구의 제한과 흑백 인쇄라는 기술의 틀(한계)’을 벗어나기 어려웠던 현실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이에 여러 가지 도구와 재료를 사용해 새로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실험하고자 했고 그 결과물이 바로 이 작품집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선생은 ‘오랜 시간 만화를 그려오면서 마음 한 구석 허전하고 아쉬웠던’ ‘가려운 곳을 메워 주고 긁어준’ 게 바로 이 작품이라 고백하면서도 이 또한 ‘연재만화의 특성’을 완전하게 극복하지 못하고 ‘실험’이라는 마음의 원칙을 지키지 못해서 ‘미완(未完)의 실험’작에 머물게 된 것을 못내 아쉬워하고 있다.

1980년대부터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민초(民草)들의 삶을 그만의 독특한 화풍으로 표현하는 시대극 만화 창작을 고집했기에 ‘바지저고리 만화가’, ‘조선의 혼’이라는 타이틀이 붙었던 선생이었다. ‘모르는 것은 그릴 수 없다’며 철저한 고증을 통해서 알아낸 것만 그릴 수 있기에 조선 시대를 벗어날 수 없었다는 그 고집스러움과 ‘만화는 엉덩이로 그린다’는 또 다른 그의 지론이야말로 세간으로부터 선생이 ‘조선 시대 극화의 거장’으로 평가 받게 된 원동력일 것이다.

선생과 함께 1997년 청소년보호법 파동을 함께 겪었던 만화가 이현세는 ‘만화가들은 오랫동안 표현의 자유에 대해 억압당하면서 투쟁해’ 왔다면서 이 작품집을 ‘간단하지만 가볍지 않고 짧지만 긴 울림’이 있다고 평가하고 기성세대의 고정관념을 뛰어넘어 후배들은 ‘열린 세상에서 표현의 자유를 누리며 작업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추천의 변(KTV라디오 ‘대통령의 서재’)을 밝히기도 했다.

이 책만이 가진 다양한 표현방식을 알아차리시는 순간 ‘한국만화 최초의 실험과 도전’이라는 출판사의 홍보 문구가 전혀 손색없음에 동의하실 것이다. 절판되어 지금은 보기 드문 책이라는 게 그저 아쉬울 뿐이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