쌓이는 경매 매물, ‘불황의 늪’ 깊어졌다
쌓이는 경매 매물, ‘불황의 늪’ 깊어졌다
  • 뉴제주일보
  • 승인 2024.02.13 18: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금리 기조가 길어지면서 지역경제 전반에 경고등이 켜졌다. 빚을 못 갚아 경매로 넘어간 부동산이 급증하고, 부동산담보 대출 연체율이 치솟고 있다. 지난달 제주지역에서 진행된 부동산 경매는 총 557건으로, 낙찰률 25%, 낙찰가율은 61.2%를 기록했다. 이 중 주거시설은 195건이었는 데 아파트가 52건을 차지해 2008년 11월(53건) 이후 15년 2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부분 임의 경매로 나온 것들이다.

임의경매는 통상 은행 등 금융기관이 대출금을 회수하려고 진행하는 절차다. 부동산을 담보로 잡은 채무자가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하면 채권자가 법원에 임의경매를 신청할 수 있다. 강제경매와 달리 경매 신청 이전에 재판을 진행할 필요가 없다. 금융권으로부터 대출을 받고 아파트를 산 집주인들이 고금리로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해 본격적으로 한계 상황으로 내몰리는 징후가 아닌지 걱정이다. 업계에서는 아파트를 비롯해 경매에 넘겨지는 부동산이 당분간 증가할 것으로 보고있다. 경기 침체로 부동산을 매각하기가 어려운 가운데 금리까지 높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경매로 넘어간 매물이 유찰되는 경우가 늘면서 낙찰가율이 60%대로 크게 떨어지고 있고, 전체적으로 경매 매물이 쌓이고 있다는 점이다. 주거시설뿐만 아니라 토지와 업무·상업시설도 금리 부담과 시장 침체에 크게 흔들리고있다. 지난달 토지는 239건이 경매에 올랐고 업무·상업시설은 121건이 경매에 붙여졌다.

경매 물건이 급증하는 건 팔아서 금융 부담을 줄이고 싶어도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어 팔리지 않는 때문이다. 대출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경매로 넘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불황의 늪’을 더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 경매 낙찰가가 일반 시장 거래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시장 안정화의 발목을 잡을 여지도 많아진다. 서둘러 해법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다. 정부와 금융통화 당국은 부동산 대출 리스크가 지역경제의 불안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시장 안정화 대책을 내놓기 바란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