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학교 교육과정, ‘융합교육’으로 전환해야”
“제주4·3 학교 교육과정, ‘융합교육’으로 전환해야”
  • 김동건 기자
  • 승인 2024.01.25 1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의회 4·3특위, 25일 제7회 4·3정담회 개최
"교과서 벗어나 법·정치·문화·생태 융합해야"
25일 제주도의회에서 제7회 4·3정담회 ‘제주 4·3 신진학자 미래과제 연구결과 공유회’가 진행되고 있다. 김동건 기자.
25일 제주도의회에서 제7회 4·3정담회 ‘제주 4·3 신진학자 미래과제 연구결과 공유회’가 진행되고 있다. 김동건 기자.

제주지역 학교에서 운영되는 4·3 교육이 교과서를 넘어 ‘융합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4·3특별위원회(위원장 한권)는 25일 제주도의회에서 제7회 4·3정담회 ‘제주 4·3 신진학자 미래과제 연구결과 공유회’를 개최했다.

이번 4·3정담회는 지난해 4·3특위가 도내·외 신진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4·4과 관련해 자유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도록 연구과제를 추진한 결과를 발표하기 위해 마련됐다.

‘4·3교육, 단절을 넘어 융합교육으로’라는 연구를 수행한 이정원 제주한라대학교 교수는 현재 4·3교육에 대해 “교과서에 4·3은 독립적인 교육 영역으로 존재하지 않아 교과서에 명시된 ‘교육 목표’ 안에 4·3 기술 내용이 담겨 있다”며 “그러나 교육부의 ‘2022 개정 교육과정’ 고시 당시 한국사 교과서에 4·3에 대한 ‘학습요소’가 삭제됐다가 교육계와 정치권, 사회단체 등의 거센 반발로 복원되는 등 위기를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특히 현재 제주도교육청의 4·3교육은 ‘제주이해교육’의 개념으로 교과서 외의 다양한 교육 영역은 물론 지역사회와 단절됐다”며 “4·3이 역사를 중심으로 법, 정치, 문화, 생태 등 다양한 영역과 연계하고 융합한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범주로 전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융합적인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모형으로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신설된 ‘4·3융합전공과정’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며 “4·3융합교육을 통해 도내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지역사회 간 연대의 구조를 만들면 상생 발전하는 선순환으로 확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5일 제주도의회에서 제7회 4·3정담회 ‘제주 4·3 신진학자 미래과제 연구결과 공유회’가 열린 가운데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동건 기자.
25일 제주도의회에서 제7회 4·3정담회 ‘제주 4·3 신진학자 미래과제 연구결과 공유회’가 열린 가운데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동건 기자.

또 이날 4·3정담회에서는 4·3의 영문 명칭 사용에 대해 신중성과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제주 4·3 영문 명칭 연구’를 진행한 김지민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융합연구소 연구원(박사)에 따르면 4·3에 대한 대표적 영문 명칭을 조사한 결과 incident(사건), uprising(항쟁·봉기), 학살(massacre) 이외에도 다양한 표현이 쓰이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연구원은 “여전히 국내에서 완전한 공식적 명칭이 없는 상황에 영문 표기 또한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4·3의 영문 명칭도 4·3의 정명 문제와 맞닿아 있는 만큼 신중한 표기가 중요하다”며 “또 영문 표기·표현 사례 등에 대해 추가적인 인터뷰 및 설문조사 등 체계적인 수집과 분석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건 기자  kdg@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