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와 건설 대기업 간의 ‘상생 협약’
제주도와 건설 대기업 간의 ‘상생 협약’
  • 뉴제주일보
  • 승인 2023.11.09 16: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지역 건설업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제주에 진출한 국내 건설 대기업들과 ‘상생 협약’을 체결했다.

이런 협약이 실질적으로 어떤 효과를 낼지 모르겠으나 건설업의 위기를 그대로 볼 수만은 없다는 고육지책(苦肉之策)으로 보인다.

건설업은 지역내총생산(GRDP)의 10% 가까이 차지할 만큼 제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크다. 건설업이 흔들리면 지역경제 전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그런 건설업이 2021년 들어서 6.9%까지 GRDP 비중이 떨어질 정도로 경영난이 심각하다. 특히 주택건설은 수익성을 따질 겨를도 없이 수주에 매달리다 보니 리스크가 커졌다.

지속된 고금리와 원자재 쇼크에 대부분의 지역 건설사들이 휘청거리고 있다. 자금 압박으로 사실상 파산에 이른 업체가 늘고 있고 그나마 견뎌오던 중견 건설사들도 유동성 위기로 신용등급 강등 위기에 빠지고 있는 것이다.

건설사들의 위험징후는 곳곳에서 읽을 수 있다. 핵심은 미분양주택 적체다. 8월 말 기준 미분양은 2358가구다. 이 중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은 803가구로 약간 줄고 있지만 여전히 심각한 상태다. 미분양 적체는 신규 주택을 공급할 수 없다는 의미다.

제주지역의 월별 주택 매매량은 2020년 12월 1377건, 2021년 6월 1277건 등에 달했으나 2020년 10월(480건)부터 급격히 줄면서 500건 위아래를 맴돌고 있다. 

한국은행은 올해 상반기 금융안전보고서에서 미분양이 증가하면 약 3년의 시차를 두고 건설사의 부실 위험이 커지는 패턴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당장 큰 문제는 없더라도 3년 뒤엔 가시적 리스크로 불거진다는 말이다.

물론 부실기업들은 시장원리에 따라 도태되는 게 마땅하다. 건설업 위험징후를 확대 해석하는 경향도 경계해야 한다. 그러나 건설업 위기가 지역 산업 생태계를 뒤흔들고 나아가 경제 전반으로 위기가 옮겨가는 일이 벌어져선 안 된다. 

제주특별자치도와 건설 대기업 간의 협약이 좋은 결과를 가져와 지역 건설업의 당면 리스크를 해소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