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의 바른 이름은 언제 쯤에나
제주4·3의 바른 이름은 언제 쯤에나
  • 뉴제주일보
  • 승인 2023.05.09 19: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광철 전 전교조전국초등위원장·초록교육연대 대표·시인

4·3 75주년인 올해 제주도와 4·3유족회 등은 4·3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에 나섰다. 이런 가운데 4·3에 대하여 탈북자인 ‘국민의힘’ 태영호 의원은 “김일성의 지시에 의하여 일어났다”라고 하고 ‘서북청년단’ 등 극우단체들은 ‘공산 폭동’이라고 하여 4·3 유족들과 많은 국민들을 분노케 한다. 정부의 ‘제주4·3진상보고서’ 어디에도 4·3이 김일성의 지시라는 기록은 없다.

4·3은 김대중 정부 때인 2000년 여야 합의에 의하여 ‘제주4·3진상규명특별법’을 제정하여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3년여의 노력 끝에 ‘제주4·3진상보고서’가 나온다. 노무현 대통령은 4·3에 대하여 공식 사과를 하고 박근혜 정부에서는 4·3을 추념일로 지정한다. 2022년 문재인 정부 때 ‘제주4·3피해보상특별법’이 제정되어 현재 보상 절차가 진행 중에 있다. 4·3은 초·중·고 교과서에도 실려 있다. 

해방 정국에서 미군정은 한국인들의 염원인 친일 청산과 통일된 독립국가 건설은 외면한 채 친일 부역자들을 다시 채용하고 반공을 내세워 38 이남에 친미정권을 세우려 했다. 당시 제주는 콜레라가 창궐하고 흉년이 들어 6만여 귀향민과 도민들은 굶주리는데 미군정은 일제와 같이 세금으로 곡물을 수탈했다. 해방에 대한 희망은 절망으로 뒤바뀐다.

1947년 삼일절에 관덕정 앞과 북국민학교에 3만여 명이 모인 기념식 후 시위에서 경찰의 발포로 6명이 사망하고 8명이 다치지만 경찰은 사과하지 않는다. 이에 격분한 도민들은 일부 경찰과 공무원, 학생, 교사, 직장인, 상인 등 95%가 총파업에 참가한다. 육지에서 들어온 응원 경찰이 검거 선풍을 일으키고 북에서 내려온 ‘서북청년단’은 온갖 행패를 부린다. 2500여 명의 도민들이 경찰에 잡혀가 6명이 고문치사를 당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제주 남로당은 무장투쟁에 나선다. 350여 명의 무장대가 4월 3일 새벽 한라산에서의 봉화를 신호로 경찰지서들을 습격한다.

남한 단독정부를 세우고자 했던 미국과 이승만은 5·10 선거를 반대하는 제주도를 ‘레드 아일랜드’라고 색깔을 씌워 군인과 경찰 등 토벌대를 투입하여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무차별 살륙과 방화 등 초토화 작전으로 6·25 다음으로 많은 3만여 명의 희생자를 낸다.

4·3진상보고서 서문에 4·3의 역사적 평가는 후세 사가들의 몫이라 하였다. 제주4·3평화공원에는 이름 없는 백비가 누워있다. 5·18이 ‘광주민주화운동’이라 하듯 4·3도 올바른 평가를 통하여 바른 이름을 얻어야 한다. 4·3은 동학이나 5·18과 같이 무도한 국가 폭력에 저항했던 통일, 자주독립운동이다. 남로당의 무장봉기는 4·3의 전부가 아닌 일부일 뿐이다.

‘4·3’이라 부르는 것은 남로당 무장투쟁의 날의 이미지가 강하다. 100여 년이 지나면서 동학이 ‘난’에서 ‘운동’, ‘혁명’으로 바뀌듯 제주4·3도 ‘4·3’이 아닌 ‘제주민중항쟁’ 또는 ‘통일자주운동’ 등으로 성격이 규정되고 백비를 일으켜 세우는 날을 고대해 본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