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외 4·3 관련 기록 왜곡·소멸…기억 공유 장치 마련 필요"
"도외 4·3 관련 기록 왜곡·소멸…기억 공유 장치 마련 필요"
  • 현대성 기자
  • 승인 2023.01.25 1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3 전국화와 맞물려 추진된 도외 4·3 관련 공간 조사에서 4·3 관련 기록이 왜곡되거나 소멸한 곳이 다수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4·3 전국화를 위해서는 4·3 관련 기억이 소멸하기 전 공유하는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지난 2년간의 현장조사를 토대로 4·3과 연관된 도외 지역 112곳이 실린 ‘4·3 기억의 공간 조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위원회는 이번 조사를 통해 기존에 알려진 형무소와 학살터 관련 유적지 외에도 전국을 서울·경기권, 대전·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권역별로 나눠 4·3과 연관성이 있는 곳을 조사·기록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4·28 평화회담을 추진했던 김익렬 연대장 생가(경상남도 하동)를 확인했으며, 강원도 정선 지역 소위 ‘김달삼 모가지 잘린 골’ 관련 증언과 위치도 파악했다.

위원회는 나아가 서울 현충원과 대전 현충원에 안장된 4·3 관련 인물들의 묘역 등을 정리했다. 실제 서울 현충원에는 4·3과 연관된 김명, 김정호, 문용채, 박진경, 김익렬, 안재홍, 이범석, 채명신, 채병덕, 최석용, 김용주, 최치환 등의 묘역이 조성돼 있다.

대전 현충원에도 함병선, 선우기성, 유재홍, 문봉제, 이형근, 김두찬, 김창룡, 이세호, 서종철, 박창암, 박창록 등이 국가의 이름으로 추모되고 있다.

김은희 조사단장은 “일부 미진할 수는 있지만 그동안 형무소와 학살터 중심에서 4·3과 연계된 장소와 인물까지 범위를 확장해서 도외 4·3유적지 조사를 진행했다”면서 “기록이 왜곡되거나 4·3 관련 이정표조차 없는 곳이 대부분인 만큼 기억이 소멸하기 전에 종합적인 기억의 공유를 위한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대성 기자  cannon@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