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한계기업 급증, 정책대응이 시급하다
제주 한계기업 급증, 정책대응이 시급하다
  • 뉴제주일보
  • 승인 2021.11.30 18: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외부감사 대상 비금융 기업을 대상으로 한계기업의 비중을 조사한 결과 제주지역은 그 비중이 42.7%에 달했다.

전국 평균(17.8%)보다 그 비중이 갑절이 훨씬 넘고,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컸다. 증가 폭도 2018년 대비 8.8%포인트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번 돈으로 부채 이자도 갚지 못하는 업체를 말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이렇게 숨만 붙어있는 ‘좀비’ 기업이 늘어나고 부도 위험도 높아져 지역경제 회복의 발목이 잡힐 우려가 커졌다.

더 늦기 전에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대응이 시급하다.

지금 제주지역 사정이 다른 지역에 비해 더 심각한 것은 비(非)대면 업종보다 대면 업종 비중이 높은 관광지 특성 탓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도 외부감사 기업 중 숙박·음식점 비중이 15.1%로 전국 평균(1.8%)의 8.4배에 이르고, 제조업 비중은 9.1%로 전국 평균(46.2%)보다 5배나 낮았다.

따라서 한계기업으로 찍힌 기업들도 대다수가 코로나19 이후 영업 악화로 한계에 몰린 숙박·음식점 업종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이들 업종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생겨난 인플레로 인해 상황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한번 오르면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임금과 임대료가 이들 대면 업종의 목을 조르고 있다.

더욱 문제는 정부의 유동성 회수 정책이 시작됐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방향성은 이미 뚜렷하다. 이자 부담이 가중되면서 신용 리스크가 커지고, 한계기업들의 도산이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 지역경제 전반과 일자리에 심대한 충격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반면 코로나19 사태는 계속 확산되고 있다. 오늘부터 예정됐던 ‘위드 코로나’ 2단계 전환도 연기됐고 특별방역대책이 시행됐다.

한계기업들이 더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정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역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유동성 위기에 빠진 한계기업에 적절한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지역경제의 고질적인 과밀 업종 등에 대한 구조조정도 이제 본격화해야 한다.

코로나19 이후 각종 지원은 퇴출되어야 할 좀비 기업들까지 억지로 연명토록 해온 측면도 작지 않다.

무작정 좀비 기업까지 살리는 방식은 안 된다.

일시적 유동성 위기에 빠진 업종과 경쟁력 있는 기업은 반드시 지켜야 하지만, 지금 구조조정의 적기를 놓치면 국가자원의 낭비만 초래하게 된다. 

엄밀한 조사와 점검으로 옥석(玉石)을 제대로 가려 질서있는 지원과 구조조정에 나서야 할 때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