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본 프리, 제주 대표 정책으로 전환해야
카본 프리, 제주 대표 정책으로 전환해야
  • 뉴제주일보
  • 승인 2020.08.03 18: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성후 ㈔국제전기차엑스포 사무총장

오늘(3일) 텔레비전을 켜자 ‘서울 강남역이 물 폭탄을 맞았다. 철도와 도로가 막혔다. 지하차도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는 등의 기사가 보도되고 있다. 이 중 압권인 것은 길이가 2.3㎞, 저수용량이 390억t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중국 싼샤댐 붕괴설이다.

왜 이런 사태들이 발생하고 있을까(?). 전문가들은 산업혁명 이후 급속하게 상승한 기후변화에서 찾고 있다. 때마침 지난달 28일 환경부와 기상청은 ‘한국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 2020’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 100년간 한국의 지표온도 상승폭은 전 세계 평균 0.85도의 2.1배인 1.8도라고 한다. 2100년 한국의 기온은 온실저감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해도 2.9도 상승하면서 파리기후협약을 위배할 정도라고 한다.

2100년 한국에서는 사과를 재배할 수 없게 되고 제주 경제의 버팀목인 감귤은 제주가 아닌 강원도에서 재배하게 된다. 여름철 폭염과 겨울철 한파 일수가 증가하면서 기후변화 영향을 받는 관광산업이 위축되는 등 산업구조에도 새로운 변화가 온다고 한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국가환경종합계획’에 의해 2040년까지 830만대의 전기차와 수소차를 보급하는 등 전체 차량의 80%까지 배출가스 제로 차량으로 전환하게 된다. 서울시도 2050년 모든 차량을 전기차·수소차로 전환한다는 목표 아래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등록을 불허하고 배출가스 제로인 전기차와 수소차만 등록하게 된다.

국회에서도 내연 기관차 생산과 판매를 금지하고 배출가스 제로차로 교통 생태계를 바꾸는 ‘그린 모빌리티 정착’을 유도하는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법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이러한 흐름은 글로벌 대세로 자리하고 있다. 노르웨이는 2025년, 인도와 네덜란드는 2030년, 영국은 2035년, 프랑스는 2040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를 선언했다.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은 범지구적 차원에서 온실가스를 저감하고자 2015년부터 2100년까지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혁명 이전보다 섭씨 2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파리기후협약을 채택하고 국가별로 추진하고 있다.

이렇듯 인류 생존 차원에서 범지구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주도 역시 2012년 신재생 에너지 확대와 전기자 보급 등을 골자로 하는 ‘탄소없는섬(Carbon Free Island) 2030 제주’를 선언하고 연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2015년 파리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에서 한국이 전면에 내세운 온실가스 감축 공약인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 모델 지역이다. 중국 하이난섬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카본프리 아일랜드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앤 EU 집행위원장도 유럽을 세계 최초의 카본프리 대륙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카본프리는 인류 생존을 위해 범지구적 차원에서 추진하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매김했다. 제주도가 추진 중인 카본프리 아일랜드는 범지구적 모델이 되고 있다.

반면에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온도 상승은 제주를 송두리째 바꿔 나가게 된다.

감귤 재배를 불가능하게 하고 자연경관 감상 위주의 제주 관광산업은 증가하는 태풍과 폭염, 한파로 인해 위축된다. 범람하는 양쯔강에서 유입하는 저염분수와 해수면 온도 상승은 제주 수산업을 붕괴시키게 된다.

폭염과 한파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관련 인프라가 부족한 농어촌 인구가 대폭 감소하게 되면서 제주 생존마저 위협하게 된다.

이제 제주도는 ‘카본프리 아일랜드’를 단순히 에너지 정책으로만 인식해서는 안 된다.

제주에서는 정파적 차원이 아닌 제주 생존 차원에서 ‘카본프리 아일랜드’ 정책을 제주 대표 정책으로 채택하고 기후 변화를 사회 전반에서 분석하고 대응해 나감으로써 2100년에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는 제주로 생존 및 발전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 나가야 한다.

뉴제주일보 기자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