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민박 지원, ‘선택과 집중’이 관건
농어촌민박 지원, ‘선택과 집중’이 관건
  • 뉴제주일보
  • 승인 2020.01.20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어촌 민박. 일부는 펜션이라는 이름으로 영업하기도 한다. 농어촌 민박은 말 그대로 농어촌 지역 주민들의 소득증대를 위해 만들어진 소규모 숙박시설로, 그 설립 취지는 나무랄 데 없다. 나아가 요즘 유행인 가족주의 또는 소규모 그룹 형태의 여행이 주류를 이루는 점을 감안할 때 맞춤형 숙박형태다. 대형 호텔 등 대규모 숙박시설과 달리 설립이 쉽다. 이 때문에 농어촌민박은 우후죽순식으로 그 수를 늘렸다.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부작용도 이어진다.

지난해 11월 기준 도내 농어촌민박은 4296 곳으로 전년 3865곳 보다 11.2%(431곳) 증가했다. 도내 농어촌민 박은 2013년 1449곳 2017년 3497곳으로 급증세가 이어진다. 이는 현재 진행형이다. 이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난다. 숙박시설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안전인증제는 아직도 당사자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2018년 2월 구좌읍 게스트하우스에서 관리자에 의한 20대 여성 성폭행‧살해사건이 발생한 후 안전인증제가 도입됐지만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안전인 증을 받은 농어촌민박은 88곳으로 전체의 2.0%에 머물고 있다. 여기다 적지 않은 농어촌민박들이 위법 행렬에 가세한다.

업체의 난립은 결국 과잉경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문을 닫는 업체가 나오기 마련이다. 지난 10월까지 도내에서 휴·폐업 신고한 농어촌민박은 568곳에 이른다. 출혈 경쟁이 심화하면서 누적된 영업적자를 감당하지 문을 닫은 것이다. 이는 도내 숙박시설의 과잉경쟁과 무관하지 않다. 지난해 10월 말 기준 도내 등록된 숙박시설은 총 5635곳·7만4363객실로. 이는 적정수준보다 2만6000개 많은 것이다. 여기다 지금 제주에서 이뤄지는 대규모 개발사업의 경우 대부분 숙박시설을 포함한다. 때문에 숙박 시설 간 생존 싸움이 갈수록 치열하다. 이 경우 영세 소자본 영세숙박시설이 1차로 타격을 보는 것은 불 보듯 뻔하다.

그렇다면 숙박시설 스스로 자생력을 갖추는 게 필수적이다. 농어촌민박은 제주가 지향해야 할 관광자원임이 분명하다. 제주에서 발생하는 관광수입이 제주 곳곳에 골고루 스며들게 하는 최적의 관광수입 배분형태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지방정부가 나서야 하는 당위성이 이 때문에 나온다. 선택과 집중이다. 지방정부인 제주도는 안전인증제 시행 등 이른바 건전한 업소에 대해서는 과감한 지원을, 불법 영업 등 불법시설에는 엄정한 법집행을 통해 농어촌민박의 자생력을 갖출 지혜를 짜내야 한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