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제주도체육회장 후보들의 공약은?
민선 제주도체육회장 후보들의 공약은?
  • 홍성배 기자
  • 승인 2020.01.06 16: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평국-송승천 후보, 저마다 제주체육 발전 위한 적임자 자임

탐라대 부지에 스포츠 레저타운-전천후 체육관 조성 등 제시

초대 민간 제주특별자치도체육회장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전이 6일 본격 시작됐다. 오는 15일 실시되는 이번 선거에서는 부평국 후보와 송승천 후보가 제주 체육 발전의 적임자임을 자임하며 맞대결을 벌이고 있다. 이들 두 후보의 공약을 알아본다.

 

기호 1번 부평국 후보(67)

부평국 후보는 제주체육 발전의 성공시대를 열겠다며 4대 역점 공약을 제시하고 적극적인 실천을 다짐했다.

첫째, 재정 안정적 자립기반 및 조직 혁신을 위해 공공체육시설 수탁 관리 운영체계 도입, 종합경기장 시설 관리단 신설, 가맹단체 합동사무실 운영, 스포츠 마케팅부 신설을 약속했다. 체육회 재정의 80%를 제주도의 보조금에 의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사업의 내실 있는 추진과 더불어 제주도도의회와 협의를 통해 도 조례를 제정하고 안정적 재정 확보를 통해 사업 추진의 지속성을 유지하겠다는 생각이다.

둘째, 융복합 체육 인프라 확충과 월드 종합대회 유치 공약에서는 ()탐라대 부지를 활용해 스포츠 레저타운을 조성하고 전지훈련 메카로 육성, 유니버시아드대회와 동아시아대회 등의 유치, 동계종목 및 e-스포츠 육성 등을 제시했다.

셋째, 전문생활체육 균형 발전을 통한 스포츠 인재육성 체계 확립을 위한 방안으로 공공스포츠클럽 권역별 창단, 읍면동 체육회 활성화 지원체계 구축, 학교체육 지원 스포츠 거버넌스 구축, 제주체육과학센터와 연계해 과학적인 선수체계 육성, 실업팀 창단 등을 밝혔다. 부 후보는 재임 시절 공공스포츠클럽 설립과 스포츠과학센터를 제주에 유치했다며 한 걸음 더 나가 엘리트와 생활체육 통합 운영의 불만을 해소하고 선순환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인재육성 시스템을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넷째, 소통을 통한 체육인의 권리 증진 강화, 종목단체 사무국장 처우 개선 및 복지 증진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제주체육 소통발전위원회 신설, 제주출신 체육인 선수 육성 및 지도자심판 지원 현실화, 경기인 직원 채용시 가산점 부여 및 취업 알선, 생활체육인 전국대회 참가비 현실화, 지도자 생활 안정과 우수 꿈나무 능력 배양 기회 부여, 체육회 직원 의식 개선을 통한 종목단체와 수평적 관계 형서, 종목단체와의 공동체 의식 함양 등을 담았다.

 

기호 2번 송승천 후보(61)

송승천 후보는 제주 체육의 발전 방향을 다섯 가지로 집약하고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첫째, 전문체육 육성 및 체육환경 조성을 위해 경쟁력 있는 운동경기부 창단 및 독립성 강화, 우수선수 경기력 향상비 지원, 제주지역 프랜차이즈 스타선수 발굴육성 지원, 경기력 향상을 위한 체력관리 시스템 및 DB 구축을 제시했다.

둘째, 100세 시대에 맞춘 생활체육시스템 구축을 위해 제주형 스포츠클럽 공모 및 동호회 클럽화 유도, 지역 특성에 맞춘 생활체육교실 운영 및 신규 프로그램 개발, 생활밀착형 체육시설 확충 및 소외계층 참여기회 확대, 생활체육보조금의 자부담률 최소화, 실버세대 특화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동 지원을 강조했다.

셋째, 제주체육 산실인 학교체육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학교체육지원위원회를 설립하고 체육 우수학교 재정 지원, 우수선수 장학금 및 해외연수 프로그램 지원,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지원 강화, 지역연계 학교운동부 창단 지원 등을 내걸었다.

넷째, 체육시설 인프라 확충 및 스포츠산업 육성과 관련해서는 메가스포츠 이벤트(2025년 또는 2027년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2030년 아시안게임) 유치를 통한 시설 확충 및 지역경제 활성화, 비인기 종목이 운동할 수 있는 전천후 체육관 확보, 산남지역 체육시설 확충을 통한 전지훈련팀 유치 및 전지훈련 최적지 완성, 제주에 맞는 선도 스포츠산업 발굴 육성, 남북 체육교류 사업 추진 등을 약속했다.

다섯째, 제주체육행정의 변화와 혁신을 위해 지도자감독사무국장 처우 개선(급여 현실화) 및 인권향상 사업 실시, 체육단체 합동사무실 운영 및 행정지원비 인상, 체육행정 전문성 강화를 위한 조직 개편(훈련부에 경기인 출신 배치 등), 선수지도자유관기관이 포함된 소통위원회 운영, 체육진흥기금 조성, 체육회관 운영 내실화로 자립기반 구축, 위원회 체제 개편 등을 제시했다.

홍성배 기자  andhong@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