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와의 전쟁
악취와의 전쟁
  • 김현종 기자
  • 승인 2019.12.10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에서 악취와의 전쟁이 한창이다. 주적은 악명 높은 양돈악취다.

20178월 한림읍 일부 농가가 양돈분뇨를 숨골에 배출한 사건이 도화선이 됐다. 당시 제주가 발칵 뒤집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해 3월과 올해 7월 양돈장 59곳과 56곳을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했다.

악취관리지역 지정 농가들이 1년간 악취저감 계획을 제출하고 시설을 설치하면 본격 관리가 시작된다. 지난해 9월 제주악취관리센터가 설립돼 악취 실태를 분기별로 조사하고 있다.

악취관리지역으로 먼저 지정된 양돈장들에 대한 지난해 4분기 조사 결과 악취 평균 농도와 최고 농도는 11배수와 66배수였다. 올해 1분기와 2분기 조사 결과 평균 농도와 최고 농도가 8배수와 66배수, 7배수와 30배수로 떨어졌다.

이는 당초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위한 한국냄새학회의 2017년 조사 당시 평균 농도 22배수와 최고 농도 300배수보다 크게 개선된 수치다.

그런데 조사결과를 믿는 도민은 많지 않다. 최대 전장인 한림 주민들로 구성된 제주한림읍지킴이도 최근 집회에서 악취관리지역 지정이 전혀 효과가 없다. 자괴감이 든다고 토로했다.

악취 민원도 2017722건에서 지난해 1500, 올해 8월 현재 1298건으로 증가 추세다.

실제로 악취 조사방법에 강한 의구심이 든다. 2017년 조사는 양돈장 경계 둘레 전체에서 이뤄졌는데 분기별 조사는 일부 지점에서만 진행됐기 때문이다. 공기희석관능법인 만큼 날씨위치 등을 동일하게 적용해야 악취 저감여부를 알 수 있는데도 반쪽짜리 조사를 실시한 셈이다.

농가들이 제출한 악취저감 계획도 각종 악취방지시설 설치에 따른 저감률이 제각각이다. 예측농도(배수) 10을 넘지 않기 위해 저감률을 임의 적용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는 대목이다.

그런데도 당국자들은 악취가 심한 곳에서 시료를 채취한다”, “시설 저감률을 일률 적용하기 어렵다고 한다. 도민들의 분노를 모르는 한가한 소리다.

행정당국에 묻지 않을 수 없다. 악취와의 전쟁에서 이길 생각이 있는지, 악취 피해를 구제하고 청정 제주 이미지를 지킬 의지가 있는지.

 

 

 

김현종 기자  tazan@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