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위기’ 제주어, 교육 시스템 도입‧국가차원 관리 필요
'소멸위기’ 제주어, 교육 시스템 도입‧국가차원 관리 필요
  • 김나영 기자
  • 승인 2019.11.11 1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제3회 제주학대회' 개막
11~13일 제주시 칼호텔 일원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는 11일 '제3회 제주학대회'의 막을 열고 오는 13일까지 선보이고 있다.

‘소멸위기’ 제주어 등 지방어의 보존‧발전을 위해서는 국립방언연구원 설치 등 국가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이와 더불어 제주어 교육 및 홍보 등으로 젊은 세대의 제주어 습득기회 확산 및 인식 개선에도 노력해야 한다는 해외 사례가 발표됐다.

이 같은 의견은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가 11~13일 제주칼호텔에서 열고 있는 ‘제3회 제주학대회’에서 제기됐다.

첫날 개최된 기조강연에서 조선 후기 제주목사 이형상의 후손인 이상규 전 국립국어원장은 “절멸 위기에 있는 제주방언의 보존은 국가적 과제인 동시에 지방정부가 함께 추진해야 할 과제”라며 “그 소멸 속도가 빠른 만큼 국가 차원에서 이를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제주어 등 방언 체계화 작업은 국어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는 것”이라며 “현재 시스템으로 국립국어원에서 방언을 관장하기엔 역부족이다. 향후 남북통일 국어정책을 위해서도 제주가 중심이 돼 국립 기관으로 방언연구원을 설립‧유치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후 주제발표에 나선 줄리아 살라방크 SOAS 런던대학교 교수는 영국 사례로 제주어 교육 시스템 도입과 언어경관 개선 등을 통한 인식 개선, 가정과 사회 등 지역 공동체 내에서 언어 사용 장려 등을 제안했다.

수미뜨라 쑤라랏데차 방콕 마히돈대 교수는 태국 사례를 통해 지역 청년들이 언어 부흥 사업에 적극 가담하면 손실된 세대 간 연결성 회복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수익 창출까지 이어지는 것에 대한 가능성을 전망했다.

레노르 그레노블 시카고대 교수는 북극 사례로 지역민들의 소수 언어 사용을 방해하는 스트레스 요인과 활력을 주는 지탱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가정 내 언어 사용 강화와 지역 캠페인, 청장년층 간 만남, 청년 언어 대사 등 지역 맞춤형 제도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김나영 기자  kny8069@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