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보편성, 복합성에서 제주4·3은 항쟁”
“역사의 보편성, 복합성에서 제주4·3은 항쟁”
  • 변경혜 기자
  • 승인 2018.10.28 18: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4·3 70주년 제주4·3 70주년 정명(正名)학술대회’
주철인 박사, “왜 제주도민들은 학살당했나” 질문해야
31일까지 서울 광화문 광장 '제주4.3 70주년 展'
미국책임 묻는 10만인 서명도 전달 예정

 

광화문광장에 오는 31일까지 이어지는 '제주4.3 70주년 展'. 제주4·3의 전개과정과 제주의 역사가 자세히 설명돼 있다.
광화문광장에 오는 31일까지 이어지는 '제주4.3 70주년 展'. 제주4·3의 전개과정과 제주의 역사가 자세히 설명돼 있다.

제주4·3이 엄청난 대학살에 대한 ‘법적 진실규명’을 이뤄냈다면 이제 역사의 보편성에 맞춰 제주4·3항쟁의 역사로 규정지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7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주4·3 70주년 정명(正名)학술대회’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주철희 박사는 “역사적 성격을 규명하는 시점은 대체로 진실(진상)규명이 된 시점으로 첫째가 법적 부분이라면 둘째가 역사의 평가”라며 “4·3은 특별법 제정과 대통령의 사과, 피해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 등 일련의 과정이 이뤄지고 있고 부족한 부분은 채워가고 있는데 여전히 정명(正名)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은 법적문제와 함께 역사적 평가가 중요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주 박사는 먼저 “4·3을 학살의 개념으로 보면 2만5000~3만명에 이르는 대량학살은 제주공동체 전반의 토대와 사회적 양식의 파괴로 이어져 ‘제주학살’ 또는 ‘제노사이드’란 용어가 나타난다”며 “그렇다면 당시 제주도민들이 일방적으로 당한 죽음이나 피해가 4·3의 본질이며 가장 중요하냐는 질문이 남는다”고 반문했다.

이어 주 박사는 “4·3의 시작을 1947년 3·1절 행사부터 시작해 1948년 4월3일 단독정부 수립반대투쟁 등 해방이후 제반사항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제주도민의 ‘4·3 관점’은 ‘학살’보다는 ‘민중의 투쟁’을 더 중요하게 보고 있다”며 “해방됐지만 분단되고 분단의 고착화과정에서 도민들의 통일을 위한 투쟁, 미군정의 정치·사회·경제적 실패, 관의 압정과 경찰의 가혹한 폭압에 맞선 민중들의 투쟁을 복합적으로 본 것이고 이 과정에서 숱한 민간인이 학살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주 박사는 ‘역사’의 법률적 개념과 역사적 평가에 대해서도 “동학의 경우 법률적으로는 ‘동학농민혁명’으로 규정돼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동학농민운동’으로, 80년 광주 역시 법률적으로는 ‘5·18민주화운동’이지만 광주민중(민주)항쟁으로 기술되고 있다”며 “법률과 역사적 진실규명이 동일하냐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주 박사는 “제주4·3항쟁의 역사적 성격규명이 대중의 합의가 있어 정리된다면 매우 이상적이겠지만 꼭 그렇게만 이뤄지지 않는다고 본다”며 “더욱이 제주도민들이 엄청난 학살에 대한 치유를 받지 못해 생긴 트라우마가 정명으로 이르지 못한 측면도 있어 제주4·3항쟁 연구자의 담론제시가 정명에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박성인 이사(노동자역사 한내)는 4·3의 ‘수난과 항쟁’의 양측면을 강조하고 “당시 제주도민들은 지역공동체의 주인이자 통일된 민족국가를 건설해 가는 주체로 나서 분단과 탄압에 맞선, 분단이데올로기의 색안경을 벗고 보면 4·19나 5·18, 촛불이나 마찬가지였다”며 “4·3은 패배했지만 계승해야 할 ‘민중항쟁’”이라고 말했다.
최범 문화평론가는 “4·3을 빼고 8·15를 얘기할 수 없듯, 4·3은 8·15를 예비했고 8·15는 4·3의 결과물”이라며 “역사로서 4·3의 해결은 세계사 또는 한국사 속에서 4·3을 해명하고 미래 역사의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4·3 범국민위와 제주위원회는 이날 서울 광화문광장에 ‘제주4.3 70주년 展’를 시작, 오는 31일까지 4·3알리기를 이어가며 31일에는 제주4·3 미국책임촉구 10만인 서명 전달식과 세종문화회관에서 제주4·3 70주년 보고회, 유족행사, 정가악회 초청공연도 갖는다.

변경혜 기자  bkh@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