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원풍력발전단지 ‘난항’이 남긴 것
행원풍력발전단지 ‘난항’이 남긴 것
  • 뉴제주일보
  • 승인 2017.07.18 1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일보] 지난해 풍력발전지구 후보지로 선정된 만장굴 인근 63만여㎡의 행원풍력발전사업이 기로에 섰다. 최근 마을 주민 사이에 ‘변화’가 생기면서 추진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주민들 간 이견이 나오고 있다. 행원풍력발전사업이 이처럼 난항을 겪게 된 것은 발전사업단지 조성이 초래하게 될 인근 지역 땅값 하락에 따른 토지주들의 불안감이 주요인으로 보인다. 이밖에 발전사업단지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소송도 한 몫 했다. 구좌읍 행원리는 1990년대 중반 이미 국내 최초의 풍력발전단지 상업화가 성공한 지역이다.

현재 제주지역에 가동 중인 풍력발전단지는 최근 상업운전을 시작한 탐라해상풍력까지 포함할 경우 모두 19곳에 이른다. 이들 풍력발전단지는 제주 신재생 에너지의 79%을 생산한다. 제주 신재생에너지가 전체 전력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54%로 전국평균 7.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이 같은 수치만 놓고 본다면 제주의 풍력발전은 제주에서 소비되는 전체 전력생산량의 9.17%를 차지하는 무시하지 못할 비중을 차지하는 셈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화석연료의 사용을 억제하는 추세다.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탈퇴선언으로 세계적 관심이 집중되는 파리기후협약은 지구온난화로 초래될 기후변화와 이로 인한 환경재앙을 피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자는 국가 간 약속이다. 이의 핵심은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화석연료 사용을 억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풍력과 태양광 등으로 상징되는 신재생에너지가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우리정부 또한 이들 산업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제주에도 풍력발전이 최선책인가 하는 점이다. 수십미터 높이의 거대한 기둥과 그 위에 돌아가는 초대형 프로펠러 형태의 발전기는 그 자체만으로 제주의 고유 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없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때문에 이를 걱정하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잇따르지만 신재생에너지 생산이라는 명분 앞에 밀린다. 그런데 아무리 신재생에너지 생산의 당위성이 충분하다고 하더라도 제주의 경관가치를 떨어뜨리는 것까지 정당화해야 하느냐에 대해선 찬반이 있을 수밖에 없다.

제주의 중산간 요충지와 해안변을 가로지르며 제주의 고유 경관을 훼손한다는 비난을 받는 고압 송전선로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송전선로는 안 되고 거대 발전시설은 된다는 논리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풍력단지가 조성되는 지역은 특정지역 주민들의 소유한 땅이거나 특정지역과 직접 연관된 해상일 수 있지만, 이로 인해 훼손되고 가치가 저평가 될 경관자원은 이들만의 자원이 아니다. 제주도는 이번 기회에 풍력발전단지 정책을 근본적으로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제주의 자연경관 훼손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제주의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생산방안은 없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