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전력 자립화 현안과제 '급부상'
제주 전력 자립화 현안과제 '급부상'
  • 김태형 기자
  • 승인 2017.06.20 1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전력 40% 육지부서 공급...'탈 원전' 맞물려 불안정 가능성, 신재생에너지 확충 절실

[제주일보=김태형 기자] 제주지역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현안 과제로 ‘전력 자립화’가 급부상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탈(脫) 원전·석탄’ 시대를 천명하면서 국내 전력 수급체계의 획기적 변화와 함께 육지부 의존도가 높은 제주도 직접적인 영향이 예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전력 체계 유관기관 등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신규 원전 백지화’에 이어 노후 석탄 화력발전소 폐쇄 및 신규 화력발전소 건립 중단 등을 선언하면서 정부의 에너지 정책도 신재생 에너지 기반 확충 등으로 급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문제는 ‘탈 원전·석탄’ 추진에 따른 발전설비 용량 감소로 인해 국내 전력공급의 불안정성이 확대될 경우 제주 전력 수급에도 직접적인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도내 최대 전력공급 능력은 105만㎾로, 올 여름 최대 전력수요 예상치(89만여 ㎾)는 물론 전력수급기본계획 상 2020년 전망치(99만여 ㎾)에 비해서도 예비전력이 넉넉한 상황이다.

하지만 내륙과 제주를 잇는 제1·2 해저케이블(40만㎾)을 통해 우선 공급되는 전력이 전체의 40% 정도를 차지하면서 향후 원전 폐쇄 시 대책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는 전력 원가에 있어 저렴한 원전 생산 전력이 제주로 공급되고 있는데, 원전 폐쇄에 따른 국내 전력설비가 적기에 확충되지 않을 경우 지속적인 공급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이로 볼 때 도내 전력 자립화 문제가 지속가능한 제주의 미래를 대비한 현안 과제로 다시 부각되고 있다. 다행히 내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20만㎾ 규모의 LNG 복합화력발전소가 자립화 기반 구축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특별자치도의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제주’ 비전에 따라 오는 2030년 총 전력 사용 예상량(1만1334GWh)에 걸맞은 신재생에너지 자립화 기반 구축 계획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실행대책이 보완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력 유관기관 관계자는 “탈 원전을 내건 정부의 전력 수급계획 변화는 제주에 있어 기회이자 위기로 다가올 것”이라며 “정부 지원을 최대한 이끌어내 육상·해상 풍력과 태양광 등의 신재생에너지 확충을 통한 카본 프리 아일랜드 완성 계획이 마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태형 기자  sumbadang@hanmail.net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