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홍수 피해 저감 대책 필요”
“제주형 홍수 피해 저감 대책 필요”
  • 박미예 기자
  • 승인 2017.03.23 18: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14회 제주도 수자원 관리 선진화 워크숍

[제주일보=박미예 기자] 2007년 태풍 ‘나리’ 이후 제주지역에 78개소의 홍수조절용 저류지가 건설됐으나 설계 기준 없이 무분별하게 설치됐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더욱이 홍수조절 효과 평가방법도 부재, 관련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제언됐다.

제주대학교 제주수자원연구단과 단국대학교, ㈔한국수자원학회 제주지회는 제25회 세계 물의 날(22일)을 맞아 23일 제주대 아라컨벤션홀 대회의실에서 제14회 제주도 수자원 관리 선진화를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제주형 도시홍수 피해 저감 대책 수립 방안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이날 연구성과 발표에 나선 김동수 단국대 교수는 “제주지역 홍수조절용 저류지는 무분별하게 설치 및 계획됐다”며 “제주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해 매년 약 200억~300억원의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 복구액은 홍수 피해액의 2~3배인 연평균 400억~500억 정도”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태풍 ‘나리’ 이후에 제주에는 홍수 방어 대책으로 홍수조절용 저류지 78개소가 설치됐다”며 “앞으로 12개소의 홍수조절용 저류지가 추가로 건설될 예정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그러나 현재는 홍수조절용 저류지에 대한 설계 기준도 없을 뿐만 아니라 홍수조절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도 부재한 실정”이라며 “홍수조절용 저류지에 대한 효과 평가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김 교수는 제주 한천 제1·2 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 관측 시스템을 구축·운영한 결과를 발표하고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또 ‘제주도 홍수조절용 저류지의 치수 능력 증대 방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서준 명지대 연구교수는 “태풍 발생 시 하천 유출 발생과 동시에 수문을 개방하면 저류용량 부족으로 잠긴 횡월류 흐름이 발생해 홍수조절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고 진단했다.

이어 “전체 저류용량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저류지 월류부의 높이를 저류지 침수빈도에 맞도록 높이고, 저류지 내 칸막이를 허물어 전체 저류 면적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미예 기자  my@jejuilbo.net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