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학습병행제는 취업난 해소의 길
일·학습병행제는 취업난 해소의 길
  • 뉴제주일보
  • 승인 2017.03.07 1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영준. 수필가 / 시인 / 서울제주도민회자문위원

[제주일보] “우리나라 공업은 이제 바야흐로 ‘중화학공업시대’에 들어갔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중화학공업정책’을 선언하는 바입니다.(1973년 1월 12일) 그날, 생방송을 시청하는 국민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한국경제는 1960년대에 개발도상국으로 뛰어 올랐으며 1970년대는 중화학공업정책의 추진으로 공업입국을,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고도산업국가로 도약했다.

중화학공업이라함은 중공업과 화학공업을 의미한다. 중화학공업정책이란 곧 중화학공업을 육성하는 일이다.

1973년에 중화학공업정책선언으로 ‘중화학공업기지’ 조성에 착수했다. 철강은 포항, 비철금속(동·아연 )은 온산에, 화학은 여천, 조선은 거제에, 기계공업은 창원, 그리고 전자는 구미, 연구단지는 충남 대덕지역을 선정했다.

창원기계공업기지를 예로 들면 기지(단지)규모가 무려 4851만㎡(1470만평)에 이른다. 50%는 공업지역이고 50%는 배후지역(주거·상업·공용)이다. 부산에 있던 경남도청을 비롯한 도 단위기관, 단체들이 창원 배후지역으로 옮겼다. 한국을 찾아오는 외국 인사들은 창원기지를 돌아보면서 감탄했다. 각종 기계공장들이 가동하는 공업지역과는 별개로 신도시 도로망과 아름다운 도시 정경에 부러워했다.

중화학공업화를 위하여 절대적으로 필요불가결한 요건이 ‘기술인력’ 양성이었다. 기능사와 공고교육, 기술자와 대학기술교육. 그래서 고교에 기계공고, 시범공고, 특성화공고 등을 선정하여 지원했다. 성동기계공고, 구미전자공고, 부산한독직업학교 등은 유명했다. 부산대에는 기계, 전남대에는 화학 등 특성화교육도 실시했다.

재학생에게는 장학금, 졸업생들에게는 군 복무 등 여러가지 특전을 부여했다. 취업 걱정은 남의 일이었다.

국제기능올림픽에서 종합우승을 연이어 독차지한 것은 바로 이러한 기능인력양성에서 나타난 결과물이다.

연일 ‘청년 일자리’가 화두다. 대선 예비주자들은 저마다 자기가 청년실업을 해결하는 데 적임자라고 말한다. 청년실업률이 10.7%를 넘어섰다. 실업자 중 대졸자 비중은 44.5%에 이른다.

근간에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일·학습 병행제’를 취업 모델로 제시했다. 즉 학력 차별 없는 인재 양성문화와 일하면서 배우는 일·학습 병행 문화에서 청년취업난을 해결하자는 제안이다.

고졸자와 대졸자에 대한 차별이나 격차를 해소하지 않은 채 무작정 대학을 늘리다 보니 너도 나도 대학에 진학(70%)하기 위해 사교육 등이 심해지고 주거, 취업문제가 오늘의 어려운 상황에 이르게 됐다는 분석이다.

복지국가 독일·스위스는 대학진학률이 고작 30%다. 고졸로 입사한 후 대학에 다니면서 학위를 취득한다. 동시에 승급과 함께 급여가 상승된다. 일본에서 공장 안내를 맡은 반백의 간부에게서 일본경제의 저력과 기술개발에서 우위임을 느낄 수있었다. 평생 직장에서 쏟은 열정때문이다.

우리 중소기업체는 대기업 임금의 70% 수준이며 근무환경이 열악하다고 여긴다. 명함 내밀기가 부끄럽다고 중소기업을 외면한다니 가치관의 문제다.

기업인 ‘조선’을 보자. 몇 천억짜리 배 한 척을 만드는 데 무려 200~300여 중소 조선업체에서 제작, 납품한 부속품들이 들어간다. 협업생산체계다. 중소기업의 기술과 정성이 모아져야 한다.

선진복지국가만 부러워할 필요는 없다. 고졸자들을 받아 그들에게 업체에서 장학금을 일부 지원하고 야간대학과 연계하여 학업을 계속하도록 장려해야 한다. 학위나 자격증 취득 시에는 승진과 급여를 학력에 맞게 우대해야 한다. 그리해야 ‘평생직장’으로 자부심을 갖게 된다. 그래야 독자기술이 축적된다

‘일·학습병행제’를 과감히 시행할 수있도록 교육계, 경제계, 중소기업체 모두가 중지를 모아야 할 것이다. 일하면서 공부하는 업체에 졸업생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말이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