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당근·金무, 수급안정 대책 세워라
金당근·金무, 수급안정 대책 세워라
  • 뉴제주일보
  • 승인 2017.03.06 18: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일보] ‘금(金)당근’에 ‘금(金)무’다. 당근 값과 무 값이 뛰면서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기 대비 2.8%를 기록했다고 호남지방 통계청 제주사무소가 발표했다. 지난 1월에도 2.8% 올랐는데, 두 달 연속 같은 수준의 상승률을 보였다. 요인은 일부 농산물의 가격폭등과 유가 인상에 따른 석유류 제품값 상승이다.

물가가 오르긴 했지만 경기 불황 속에 물가가 계속 떨어지는 디플레이션 위험에서 벗어난 것은 다행이다. 하지만 도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 물가가 올라, 서민생활 안정에 어려움이 커지는 점이 걱정이다.

지난 해는 전국적으로 소비자 물가가 1% 상승하는 데 그쳤다. 8월 이전에는 거의 0%대에 머물렀다. 물가가 무조건 낮아야 좋은 것만은 아니다.

경제가 활력을 잃지 않으려면 적정 수준의 물가가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은행도 물가안정 목표를 2%로 설정해 통화신용정책을 운용하고 있다. 2% 상승 정도를 적정수준으로 본다는 의미다.

통계청 조사결과 2월 전국 물가 상승률 평균이 1.9%이라고 하니 한은의 목표와 거의 정확하게 맞아들어가고 있다. 이 수치만으로보면 경제활력 회복에 일단 긍정적이다.

다만 제주도의 경우 전국 평균보다 1%가 높았지만 계절적으로 발생하는 일시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문제는 소비자들이 직접 시장에 나가서 마주치는 체감물가가 전체 지수물가보다 상당히 높다는 점이다.

실제로 제주지역 물가를 견인하고 있는 상품들은 농산물과 생활 필수품인 석유류 등이다. 당근(157.1%), 무(77.1%), 귤(74.1%), 배추(50.8%) 등이 가격이 폭등했다. 등유(31.8%), 경유(22.6%), 휘발유(17.3%) 등도 크게 올랐다. 가격폭등의 원인이 대부분 수급(需給) 불안이어서 일정 시간이 흐르면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긴 하지만 도민들의 체감 물가 급등은 서민 생활의 고통과 직결되므로 서민생활과 직결되는 품목에 대해서는 제주도가 적극적으로 나서 수급 안정을 기할 필요가 있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농산물의 경우,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일이다. 채소값 등 농산물 폭등은 매년 반복되고 있다. 복잡한 농산물 유통단계를 줄여 산지에서 소비자까지 최적의 물류가 일어나도록 하는 일이 가격 안정에 최선이다.

그렇지 않아도 김영란법 시행으로 소비 심리가 다 가라앉았다고 야단이다. 지난해 연말에 라면이나 주류 등의 가격이 줄줄 오르더니, 공공요금도 연초부터 인상대열에 앞 다퉈 끼어들고 있다.

그런데 물가까지 들썩거리니 가뜩이나 활력을 찾지 못하는 내수 경기가 더 얼어붙지 않을가 걱정된다. 경기가 최악이라고 하는 지금 이 상황에서 물가마저 뛰면 서민들의 삶은 우울할 수밖에 없다. 제주도는 민생대책의 최우선을 농산물 수급 안정에 두기 바란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