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풀가동해도 '쓰레기천지' 악순환...최악 대란 '재깍재깍'
시설 풀가동해도 '쓰레기천지' 악순환...최악 대란 '재깍재깍'
  • 뉴제주일보
  • 승인 2017.02.19 19: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 쓰레기 대란 시한폭탄...제주환경자원화센터를 가다-매립장.소각장.음식물자원화 시설 등 한계상황, 발생량 줄이기 해법 함께 모색해야
증설된 제주시 봉개동 쓰레기매립장 2공구 전경

[제주일보=김태형·김명진 기자] 광활하게 끝없이 펼쳐진 각종 쓰레기 더미로 뒤덮인 언덕 위로 까마귀떼가 무리지어 곳곳을 쪼아대고 있는 황폐한 매립장….

건물 2층 높이까지 널브러져 방치된 폐목재와 역겨운 악취로 접근하기조차 꺼려지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내륙으로 반출시키지 못해 쌓여만 가는 수천여 개의 고형연료, 한 쪽 구석에 선별되지 않은 채 쌓여있는 각종 재활용품들….

지난 17일 찾아간 제주시 회천동 소재 제주환경자원화센터. 추가 증설로 버티고 있는 매립장은 말 그대로 평탄했던 부지 곳곳에 ‘쓰레기 오름’을 만들 정도로 빠른 속도로 매립 면적을 넓히고 있었다.

가연성 쓰레기를 처리하는 광역소각장을 비롯해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시설과 재활용 선별시설 등은 풀가동되고 있지만 매일 같이 밀려드는 쓰레기를 소화하는데 역부족, 쌓여가는 쓰레기들로 몸살을 앓으면서 여전히 ‘시한폭탄’인 쓰레기대란의 현주소를 반영했다.

▲쓰레기시설 모두 과포화=지난해 봉개매립장에서 처리한 쓰레기 반입량은 하루 622t(연간 22만7043t)으로, 불과 2년 새 28% 급증했다. 올 들어서는 592t으로 작년보다는 줄었지만 2014년 488t과 2015년 556t에 비해 여전히 많은 쓰레기가 넘쳐나고 있는게 현실이다.

문제는 가연성을 비롯해 음식물과 재활용품 등 모든 쓰레기 발생량이 처리시설 능력을 초과할 정도로 폭증하면서 제때 처리하지 못해 쌓여갈 수밖에 없는 악순환이 심화되는 데 있다.

20만3320㎡ 부지에 조성된 쓰레기매립장만 해도 213만㎥ 규모의 시설용량이 지난해 11월 조기 만적돼 매립 완료된 공구 위로 복토 작업을 남겨두고 있었다. 현재 반입되는 쓰레기는 지난해 증설된 2공구(6만2210㎥ 규모)에서 처리하고 있는데, 예상보다 빨리 부지 면적이 쓰레기로 잠식되면서 불안감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시권과 서귀포시 성산·남원·표선 지역의 가연성 쓰레기를 처리하는 광역소각장은 이미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반입량 처리에 허덕이고 있다. 가동된 지 14년째로 접어들면서 하루 130t 안팎을 처리할 수 있는데 반입량이 220t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

소각하지 못한 나머지 90t 정도는 못해 고형연료(개당 950㎏ 안팎)로 만들어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가연성 쓰레기에 음식물이 혼합되면서 고형연료의 수분 함유량 과다를 초래해 품질도 저하되는가 하면 도외 반출을 위해 30억원(t당 10만8000원)에 이르는 비용이 들어가는 등 돈을 써도 제때 처리하지 못해 헉헉되고 있는 상황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에는 폐목재 처리난이 가중되고 있다. 건축경기 활성화와 각종 주택·상가 리모델링 증가 등으로 폐목재 하루평균 반입량은 지난해 상반기 48t에서 올 1월 69t으로 크게 늘었다. 문제는 폐목재에 합성목재(MDF)가 상당부분 이르면서 땔감 등으로 재활용되지 못해 파쇄 후 야적 물량이 급증, 결국 돈을 주고 반출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음식물자원화 시설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풀가동해도 처리 용량은 110t인데 이보다 많은 150t이 반입되면서 처리난을 겪고 있다. 특히 음식물을 퇴비로 만드는 자원화 등의 처리 과정에서 각종 악취가 발생하는가 하면 탈리액(하루 90t)으로 인한 하수처리장 과부하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좌) 널브러져 방치된 폐목재, (우) 급증하고 있는 가연성 쓰레기

▲시한폭탄 쓰레기 대란 막야야=말 그대로 넘쳐나는 쓰레기 발생량을 처리시설이 소화하지 못하는 과포화 상황이 악화일로로 치달으면서 쓰레기 대란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처럼 작동하고 있는 시한폭탄으로 다가오고 있다.

특히 내년까지 매립장 등을 갖춘 동복 환경순환센터가 적기에 들어서지 못한다면 지금보다 심각한 최악의 사태도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궁극적으로 문제의 책임은 쓰레기 인프라를 적기에 확충하지 못한 안일한 행정에 있지만 발등의 불인 현재 상황을 감안할 때 최악의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행정 뿐만 아니라 도민을 비롯한 지역사회 전체가 함께 문제를 풀어가는 해법 모색이 절실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구조적으로 쓰레기 총량을 줄이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선결과제로 부각되면서 인프라 확충과 함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배출과 수거, 처리 시스템 구축이 관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로 볼 때 인구 및 관광객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쓰레기 요일별 배출제 개선을 추진, 재활용률을 높이는 한편 쓰레기 발생량을 줄여나가는 습관을 만들기 위한 도민 및 관광객 인식 전환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도내 연구기관의 환경분야 전문가는 “인구 및 관광객 증가와 맞물려 대형 음식점과 사업장이 늘어나는 등 산업 구조 변화에 걸맞은 종합적인 쓰레기 대책과 함께 도민들이 솔선수범하면서 청정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실천방안을 마련해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제주시 환경시설관리소 관계자는 “지난해 깨끗하게 버려진 재활용품 6100t을 매각해 6억여 원의 수입을 올린데 반해 5000t 가량은 오염 등으로 매립되거나 소각됐다”며 “재활용률을 80%대로 높이고 음식물 물기만 제거해도 쓰레기 물량 억제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형·김명진 기자>

뉴제주일보  webmaster@jejuilbo.net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