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일보 창간 71주년 특별기획...'카본프리 아일랜드' 성장엔진으로 뜬다
제주일보 창간 71주년 특별기획...'카본프리 아일랜드' 성장엔진으로 뜬다
  • 김태형 기자
  • 승인 2016.08.16 19: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2편 바람-<6> 본격화되는 해상풍력...제주 신재생에너지 개발계획 점유율 59% 달해 청정에너지 자립 성공 위한 절대 과제

[제주일보=김태형 기자] ‘제주특별자치도의 카본 프리 아일랜드(Carbon Free Island·탄소 없는 섬) 비전을 이끌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해상풍력이 뜬다.’

제주의 천연 자연자원인 바람을 녹색 에너지자원으로 활용, 탄소 없는 섬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앞으로 시설될 해상풍력의 성공 향방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도내 전체 신재생에너지 개발계획 상 해상풍력의 시설규모 점유율이 절반을 웃도는 59%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업 추진 속도가 다소 더딘 가운데 내년 말쯤 대규모 해상풍력 운전이 가시화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떠오르는 해상풍력=바다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해 생산한 전기를 육지로 전달하는 방식의 해상풍력은 1991년 덴마크에서 첫 상업용 해상풍력단지가 완공된 이후 급속도로 확산, 세계 각국에 8771㎿(2014년 말 기준)의 발전설비가 설치될 정도로 가파른 성장세를 일궈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9년에 전남 서남부 도서 해안 등에 20조원을 웃도는 민자를 투자해 5000㎿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메머드급 사업이 발표됐다. 이어 전북과 경남, 울산, 인천은 물론 제주에까지 해상풍력 발전 사업이 확산됐으나 아직 성과로는 이어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상풍력은 육상풍력에 비해 소음 등에 대한 민원 차단과 대규모 단지 조성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바람의 균질과 세기도 좋은 것으로 평가된다. 여기에 일자리도 육상보다 해상이 3배 가까이 많이 창출돼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 해상풍력도 본격화=도내 해상풍력은 10년 전인 2006년 제주시 한경면 두모리~금등리 앞바다에 30㎿ 규모의 발전시설을 갖추는 사업 계획이 허가를 받으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이어 제주시 한림읍 수원리 앞바다에 10㎿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 사업이 추진되는가 하면 현재 시점으로 서귀포시 대정읍과 제주시 구좌읍 등 6개 지구에서 해상풍력 발전 사업이 지구 지정 등의 절차를 밟고 있다.

이 가운데 한경 해상풍력은 2014년 착공된 이후 올 연말까지 10기를 모두 세울 계획으로, 내년에 선로 및 변전시설 공사 등이 마무리되면 하반기에 본격적인 가동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에 구좌읍 한동·평대 해상풍력도 지난달 말 열린 풍력발전 사업 심의위원회 회의에서 지구 지정 절차가 완료되는 등 본격적인 사업 추진이 예고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현재 건설 또는 추진 중인 해상풍력은 595㎿ 규모로, 육상풍력을 웃돌고 있다”며 “내년 하반기에 본격적인 시범운전에 이은 가동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탄소없는 섬 실현 절대 과제=해상풍력은 제주의 야심찬 청정에너지 자립 비전인 ‘카본 프리 아일랜드’의 성공을 위한 절대 과제로 손꼽힌다.

오는 2030년까지 총 전력 사용 예상량 1만1334GW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기 위한 신재생에너지 개발계획에 있어 해상풍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앞으로 갖춰야 할 신재생에너지 시설 계획은 3200㎿로, 이중 절반을 웃도는 59%를 해상풍력(1900㎿)이 분담하다는 방침이다. 현재 추진 중인 595㎿ 외에도 1300㎿를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셈으로, 현재 더딘 진행 속도를 감안할 때 실현 가능성에 촉각이 쏠리고 있다.

무엇보다 해상풍력단지 개발은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 투자가 이뤄져야 하며 인·허가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적지 않다는 점에서 적기에 사업을 마무리할 수 있는 추진전략이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여기에 해양환경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제주도는 기업참여방식으로 해상풍력 개발을 추진하고, 제주에너지공사에서 개발 후보지 선정 및 환경영향평가 절차 이행을 맡는 등 공공적 관리에 나서기로 해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제주에너지공사 관계자는 “막대한 사업비 조달을 위해 공기업 및 민간기업 등을 대상으로 경쟁에 의해 투자자를 유치해 선정하고, 공사도 참여하는 개발방식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태형 기자  sumbadang@hanmail.net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