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은 제주도’, 읍·면·동 절반이 초고령 사회
‘늙은 제주도’, 읍·면·동 절반이 초고령 사회
  • 뉴제주일보
  • 승인 2022.08.03 19: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내 43개 읍·면·동 중 절반이 넘는 22개 읍·면·동이 올해 4월 현재 ‘초고령사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읍·면·동은 65세를 넘는 사람이 20% 이상이라는 의미다. 

제주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에 따르면 읍지역 5곳(구좌·한림·성산·남원·대정), 면지역 5곳(추자·한경·우도·표선·안덕)과 동지역 12곳(제주시 건입·일도1·용담1·삼도2·용담2, 서귀포시 중앙·송산·영천·효돈·정방·천지·예래)이 초고령사회다.

노인(65세 이상) 인구는 제주도 전체적으로 11만2187명으로 16.6%를 차지한다. 이미 2017년 ‘고령사회’(노인 비율 14% 이상)로 진입했다.

통계청의 추계에 따르면 2027년에는 총인구 69만6509명 중 노인이 14만3690명(20.6%)을 기록해 10년만에 제주도 전체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문제는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사회와 비교하면 고령화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는 점이다. OECD 37개국 중 이미 초고령사회가 된 국가는 일본,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등 11개국이다. 이 가운데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넘어가는 데 걸린 기간이 10년 이내인 나라는 한 곳도 없다. 

가장 빨리 초고령사회가 된 일본도 1994년 고령사회(14.1%)에 들어선 뒤 2005년 초고령사회(20.2%)가 되기까지 11년이 걸렸다. 이런 추세라면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급격히 감소해갈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우리나라 1인당 잠재성장률(2030~2060년)을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연평균 0.8%로 전망했다. 나라와 지역사회가 빠르게 늙어가면 잠재성장률은 점점 떨어지고 재정부담은 급격히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정부나 제주특별자치도는 ‘립서비스’ 수사(修辭)와 탁상행정에 그칠 뿐 이렇다할 근본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초고령화는 국가와 지역사회 존망이 걸린 중대한 문제다.

하지만 정치권은 ‘늙은 제주도’ 문제에는 눈을 감고, ‘먹고 보자’ 포퓰리즘으로 미래세대의 짐만 늘리고 있다. 

인구학자인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인구절벽 골든타임이 10년도 안 남았다”며, 정년연장 등 해법이 시급하다고 했다. 

고령 인력을 활용하는 사회환경을 적극 조성하고 숙련인력의 은퇴에 대비해 이들의 지식과 경험을 산업자산화 하는 계획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이런 ‘고령친화’ 생태조성에 적극 대응하는 것이야말로 미래 지역 경쟁력을 가르는 결정적 선택이 될 것이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