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로 몸살 앓는 제주 해안
해양쓰레기로 몸살 앓는 제주 해안
  • 뉴제주일보
  • 승인 2022.02.14 1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 해안에 해양쓰레기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수거작업에 매달리고 있지만 역부족이어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송재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갑)이 해양수산부에서 해양쓰레기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12만736t에 달한다. 제주에서 수거된 물량이 2만1489t으로 전국 수거량의 20%에 육박한다. 2019년 1만1760t이었는데 2년 새 1만t 가까이 폭증했다.

이 같은 증가 추세는 인천, 울산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큰 것이다.해양수산부가 지난해 수거량 중 표본으로 삼은 2t을 분석한 결과 플라스틱이 1.47t으로 70.1%를 차지했다. 그 다음은 목재 16.2%, 금속 3.6%, 고무 3.1%, 유리 2.4%, 섬유 1.6% 순이다. 품목별 개수를 보면 3만1694개 중 85.3%(2만7039개)가 플라스틱이었다. 

플라스틱은 썩는 데 500년이 걸린다. 미세플라스틱은 물에 분해되거나 용해되지 않는 5㎜미만 입자로 ‘죽음의 알갱이’로 불린다. 사람이 직접 섭취하지 않아도 해양생물 몸속에 있던 미세플라스틱이 사람에게 고스란히 돌아온다. 경고음이 울린 지 오래다.

제주도민들도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다. 각종 환경관련 조사에서 해양쓰레기는 제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정책적으로 우선순위를 둬야 할 사항 중 상위권에 위치한다. 특히 젊은 층에서 문제의식이 높다.

그런데 제주도가 다양한 수거사업과 청정바다지킴이 확대 운영을 통해 대처하고 있지만 한계가 따른다. 수거량이 증가한 것은 그만큼 수거작업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제주바다에 쌓이는 양에 비해 수거되는 양이 적을 수밖에 없다는 점은 명확하다. 수거 중심의 해양쓰레기 대책으로는 바다 오염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해양쓰레기 발생원인 차단 및 관리가 강화돼야 한다.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분석해 보면 어떤 용도의 물품인지 구분이 된다. 그에 따른 맞춤형 대책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도민과 관광객의 인식 전환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바다로 떠내려가 눈에 보이지 않으면 그만이라거나, 놀러가서 몰래 버리고 오는 얌체 행동은 사라져야 한다. 버리는 사람과 치우는 사람이 따로 있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해류를 타고 제주 해안에 유입되는 다른 나라와 지역의 쓰레기도 상당해 국제 협력과 지자체 간 공조 노력 역시 요구된다. 

모든 환경 문제에서 그렇듯 해양쓰레기도 마찬가지다. 궁극적으로는 사용 자체를 줄여야 한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