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유해 발굴-유적지 보전' 완전한 해결 밑거름
4·3 '유해 발굴-유적지 보전' 완전한 해결 밑거름
  • 정용기 기자
  • 승인 2021.03.30 20: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3 73주년, 완전한 해결을 향해] ③행불인 유해 발굴과 유적지 관리
뉴제주일보 자료사진.
뉴제주일보 자료사진.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밑거름은 ‘역사의 흔적’을 찾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4·3 당시 토벌대 등에 의해 희생된 행방불명인의 ‘유해 발굴’과 후손에게 전승해야 할 ‘유적지 관리’가 바로 역사의 흔적을 찾는 일이다. 4·3 행불인은 3600명이 넘는다. 현재까지 도내에서 찾은 희생자 유해는 405구 뿐이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지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행불인이 한(恨)을 품고 잠들어 있다. 유적지도 800여 곳에 달하면서 관리에 일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도내 각계에서 도민들의 증언과 제보, 조사연구를 통해 유해 발굴과 유적지 관리에 의미 있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동시에 과제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발굴 유해 10구 중 3구는 신원 미확인
제주특별자치도는 2006년부터 4·3 행불인 유해 발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해 발굴의 밑거름은 유족들의 증언·제보다.

유관 기관에서 진행되는 연구조사 역시 유족들의 증언·제보가 없이는 성과를 내기 힘들다.

이처럼 아픔을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 도민과 유관기관이 합심한 결과 현재까지 405구의 유해가 발견됐다.

특히 2009년에는 제주공항 북동쪽과 조천읍 선흘리에서 260구의 유해가 빛을 봤다.

4·3 70주년을 맞아 7년 만에 제주공항 등에서 재개된 유해 발굴 사업에서도 5구의 유해를 찾았다.

올해에도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와 색달동, 제주시 노형동 등 7곳에서 유해 발굴을 위한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발견된 유해 405구 중 272구(67%)는 신원이 확인되지 않아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 하고 있다는 점이다.

관건은 유전자(DNA) 확보다.

제주도는 2006년부터 채혈을 통해 1494명의 4·3 희생자 가족 유전자를 확보해 놓은 상태다. 

제주도는 올해에도 제주시·서귀포시에 각각 1곳씩 지정병원을 정해 유전자 확보를 위한 채혈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제주도는 유전자 감식 기술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유해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여건이 좋아졌다고 보고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4·3 유적지 조사 활발...관리는?   
4·3 유적지 조사 및 관리는 후손에게 4·3을 올바르게 알리고 역사의 흔적을 계승해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2019년 4·3유적지종합관리계획을 수립했다.

이 종합관리계획을 통해 제주도는 4·3유적지 802곳 중 집중관리가 필요한 30곳을 선정했다.

집중관리 대상은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고 보존가치가 뛰어난 곳을 중심으로 우선 선정됐다.

제주시 건입동 소재 옛 주정공장터와 화북동에 있는 곤을동 마을 등이 대표적이다.

제주도는 나머지 유적지 772곳에 대해서는 올 상반기 내 유적지 소재지 리·통장을 유적지 명예감독으로 위촉해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지난해부터 국비를 확보해 정비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올해에는 국비 10억원과 자체 예산 10억원 등 총 20억원으로 정비 사업을 진행 중이다.

다만 민간에서 4·3 유적지 조사가 이뤄지고 이를 통해 일부 유적지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됨에 따라 민간과의 유기적인 협조와 관리 방안의 지속적인 개선도 후속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인터뷰]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과제는? ③ 강민철 제주도 4·3지원과장

 “4·3 행불인 유해 발굴-유적지 보전 범도민 참여 필요”

“유해를 발굴했어도 신원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가기 어렵다. 평생의 한을 풀기 위해서는 도민들의 적극적인 증언·제보가 중요한 열쇠다. 고령인 유족들을 위해 범도민적인 참여가 절실하다.”

강민철 제주도 4·3지원과장(사진)은 30일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4·3의‘역사의 흔적’인 유해 발굴과 유적지 보전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도민들의 참여 의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과장은 “4·3의 역사가 어느덧 70년을 훌쩍 넘어서고 있다”며 “고령인 유족들에게는 시간이 없으므로 발굴한 유해가 가족의 품으로 하루 빨리돌아갈 수 있게 유전자 확보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유전자 감식 기술 발달로 방계 6촌까지 판별이 가능해지는 등 유해 발굴 여건은 점차 개선되고 있다”며 “올해 제주시·서귀포시 소재 병원을 지정해 유가족 채혈에 집중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강 과장은 “유적지 조사와 관리도 역사의 흔적을 후손들에게 계승하고 이를 제대로 알리는 교육적인 측면에서 중요하다”면서도 “개발 영향 등으로 일부 유적지는 훼손되거나 사라졌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유적지 관리도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관리 대상을 확대할 것”이라며 “유적지 관리 명예감독 위촉 등 관리 방안도 지속 보완해 나가겠다”고 피력했다.

정용기 기자  brave@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