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봄을 알리는 영등굿
새봄을 알리는 영등굿
  • 장혜연 기자
  • 승인 2020.04.07 2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송미경 수필가

꽃샘추위가 한창 기승을 부리는 음력 2월 초하루, 사라봉 제단에서는 바다를 향해 영등할망을 맞이하는 영등굿제를 지낸다. 설문대 할망은 제주를 창조한 모태신이고 영등할망은 바다를 관장하는 외방신이다. 영등굿제는 영등할망을 위한 제를 드리고 어촌마을의 평화와 풍요를 기원하는 민간 전통문화다.

코로나19 여파로 모든 행사가 취소돼 칠머리당굿영등 보존회에서는 영등제도 간소하게 치렀다. 사방으로는 제단을 장식한 깃발을 두르고 갖가지 제물들을 차려놓고 바다의 수호신인 영등할망을 기리는 해신제가 한창이다. 매해 음력 초하루가 되면 영등할망은 제주 해협에 찾아와서 보름 동안 한림을 시작으로 서귀포, 성산, 우도 바다를 살핀 후 다시 먼 바다로 떠난다.

영등할망이 들어오면 날씨가 갑자기 추워진다고 한다. 그러므로 영등신은 바람의 신으로 혹한의 꽃샘추위를 가져오는 신이다. 영등굿을 지내는 날은 날씨에 따라 그 해 운세를 점쳐 볼수 있다고 한다. 비옷을 입은 영등 우장이 오면 비가 오고 두터운 솜외투를 입은 영등이 오면 그 해 영등달에는 눈이 많이 오며 차림이 허술한 영등이 오면 유독 날씨가 좋다고 한다. 그리고 제주의 영등달은 날씨도 춥지만 습기가 많아 빨래가 잘 마르지 않고 구더기가 괸다고 한다. 이처럼 제주의 영등신앙은 겨울과 봄의 전환기에 찾아오는 매서운 추위와 관련이 많다.

재미있는 사실은 금기사항이라 할 만큼 영등굿을 하는 동안에는 결혼식을 하지 않고 장례가 생기면 영등할망의 몫으로 밥 한 그릇을 따로 마련해야만 별 탈이 없다고 전해진다. 또한 소라나 고둥이 껍질이 비어있다고 해서 영등할망이 모두 다 까먹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지만 이는 새로 생길 소라나 전복을 위한 물갈이 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 빨래를 밖에 널어두면 구더기가 생긴다고 한다. 글을 쓰다보니 어릴 적 기억이 떠오른다. 어머니는 영등할망이 올 때엔 절대 빨래를 널면 안 된다고 당부를 했다. 그만 깜빡 잊고 빨랫줄에 즐비하게 널었는데 마른 옷을 걷으려는 순간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벌레가 실제로 옷 속에 달라붙어 있었다. 하나의 무속신앙에 불과한 설화쯤으로 생각했는데 지금도 그 때를 생각하면 신기하기만 하다.

신명나게 굿을 하는 동안 아낙네들은 한 해의 소원을 빌며 수시로 절을 올린다. 굿에 대해 일가견이 없는 나로선 굿 자체가 그저 어수선하고 신비롭다.

방파제 넘어 수평선이 보인다. 끊임없이 밀려와 부서지는 하얀 포말이 새로운 한 해의 기쁨과 희망을 안고 역동차게 달려오는 모습만 같다. 어느덧 시간이 흘러 음복할 시간이 되자 상위에 가지런히 놓여있던 제물들을 내리고 영등할망과 마지막 작별을 나눈다. 세월의 흐름속에 대대로 내려오는 옛 선인들의 삶의 지혜이며 굿을 통해 느끼는 마을의 일체감이 섬사람들에겐 한 해를 살아가는 원동력이다.

희로애락 속에 기쁨과 슬픔이 공존한다고 했던가, 자연의 섭리에 따라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다.

장혜연 기자  jhyxs1@hanmail.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