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완전한 해결 위한 ‘진상규명’ 진전
제주4·3 완전한 해결 위한 ‘진상규명’ 진전
  • 고경호 기자
  • 승인 2020.03.16 20: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3평화재단, 추가진상조사보고서 제1권 발간
추가 확정된 희생자 1만4422명 유형별 분류
당시 본적지서 거주지 중심으로 통계 세밀화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선결 과제인 ‘진상규명’이 한 걸음 진전했다.

제주4·3평화재단(이하 평화재단)은 16일 ‘제주4·3사건 추가진상조사보고서’ 제1권을 발간했다.

제주4·3에 대한 추가 진상조사 보고서가 발간된 것은 2003년 정부가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를 발표한 후 16년 만이다.

평화재단은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12년부터 추가진상조사단(단장 박찬식 박사)을 구성해 피해 실태 등을 조사해왔다.

추가진상조사단은 4·3 당시 12개 읍면 165개 마을(리)의 피해 상황을 전수 조사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희생자로 확정된 1만4422명에 대해서도 가해자 구분, 피해 형태, 재판 유형, 유해수습 여부 등에 따라 총 18개 유형으로 분류해 추가진상조사보고서에 담았다.

50명 이상이 피해를 당한 ‘집단학살 사건’은 제주 전 지역에서 26건이나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제주시갑 선거구에 출마한 송재호 예비후보와 관련해 부친이 대동청년단장으로서 학살에 가담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서귀포시 표선면의 경우 총 2곳에서 집단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표선백사장과 버들못에서 각각 234명과 92명이 희생됐다.

도민 234명이 희생된 표선백사장 집단학살은 표선면사무소에 주둔하고 있던 제2연대 군인들에 의해 자행됐고, 92명이 학살당한 버들못의 경우 경찰이 총살 집행 후 민보단원들에게 죽창으로 사살 확인 작업을 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조사 과정에서 대동청년단이 표선면 주민들을 집단학살하거나 여기에 가담했다는 내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행방불명 희생자는 4·3위원회가 확정한 3610명보다 645명이 많은 4255명으로 확인됐다.

추가진상조사단은 경인과 호남지역 형무소에 수감됐다가 행방불명된 희생자들의 실상도 구체적으로 밝혀냈다.

4·3 희생자에 대한 통계 분류도 보다 세밀화했다.

추가진상조사단은 본적지 중심으로 분류된 희생자를 4·3 당시 거주지 중심으로 다시 분류했다.

본적지로 분류되면서 피해지역과 희생자가 엇갈리는 등 피해 실태 파악에 오류가 발생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4·3 당시 가장 피해가 많았던 노형리 희생자는 종전 544명에서 538명으로, 북촌리는 419명에서 446명으로, 가시리는 407명에서 421명으로 조정됐다.

평화재단 관계자는 “2003년 발간된 정부의 진상조사보고서가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총론적 성격의 보고서라면, 이번 추가진상조사보고서는 각론적 성격으로 구체적 피해실태 파악을 통해 4·3의 진상규명을 심화하고자 하는 의미를 지녔다”며 “진상조사보고서가 뼈대라면 추가진상조사보고서는 그 뼈대에 살을 붙이는 작업으로 평가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고경호 기자  kkh@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