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앞으로 가려면
경제가 앞으로 가려면
  • 정흥남 편집인
  • 승인 2020.01.02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0년 경자년(庚子年)이 열렸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새해에 대한 부푼 기대와 소망을 안고 새로운 한 해를 시작했다.

사실 해가 새로 바뀐다고 해서 세상이 경천동지할 정도로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한해가 바뀌면 사람들은 저마다 새로 맞이하는 한 해에 자신들의 기대를 불어넣게 된다. 희망을 저버리지 않고자 하는 각자의 간절한 소망의 발로다.

그렇지만 막상 현실로 돌아오면 ‘기존’의 이음새다.

솔직히 제주는 올해에도 어렵다. 예상되는 모든 분야에서 희망과 기대보다는 어려움이 더 크게 보인다.

감귤 및 각종 밭작물 가격 하락과 양식광어값 하락으로 상징되는 1차 산업의 부진은 올해라고 나아질 조짐이 별로 안 보인다. 되레 그 어려움은 더할 것이라는 걱정이 앞선다.

이는 국내 전반적인 경기상황과도 무관치 않다.

이런 저런 사정을 종합하면 올 제주경제 또한 녹록지 않아 보인다. 1년전과 같은 저성장 또는 나아가 마이너스 성장세가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마이너스 성장이란 경제 규모가 쪼그라졌다는 얘기다. 소득이 줄고, 일자리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최악의 상황이다.

#내부 민간구조 허약

벌써 1년 전 상황이지만 지난연말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지역소득’ 잠정 집계 결과에 따르면 2018년 제주지역의 지역내총생산(GRDP·명목 기준)은 전년 대비 0.4% 감소했다. 제주의 GRDP가 전년에 비해 줄어든 것은 1998년(-3.3%, 개편 전 기준) 이후 2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물가상승을 고려한 실질 경제성장률은 –1.7%, 마이너스대로 반전되면서 전국 최저치를 기록했다.

제주도민 1인당 GRDP는 3051만원으로 9개 도 지역 가운데서는 전북(2800만원)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지역으로 여기고 이를 자랑스럽게 여겼던 제주의 자부심은 옛날얘기가 됐다.

이 같은 제주의 부진은 내부 경제기조의 허약함에 기인한다는 게 중론이다. 토종인 1차산업은 물론 경제의 밑바닥을 지탱하는 제조업 비중이 미미하다. 관광산업으로 상징되는 서비스업의 절대비중은 장점과 함께 단점도 많다. 외부충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는 관에 의존하는 경제시스템의 가속화로 이어진다. 걸핏하면 행정에 팔을 벌린다.

자생력의 전제인 체질개선이 말처럼 쉽지 않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민간 부문의 활력이 선행돼야 하지만 쉽지 않다. 때문에 올해 또한 어려워 보인다.

#젊은 인재 끌어들여야

행정기관으로 상징되는 공공분야의 경우 그동안 거듭된 구조조정과 내·외부 감시·감독 기능이 강화하면서 체질이 일정 수준으로 향상되고 특히 조직운영의 ‘기본’이 자리를 굳혔다. 공정이라는 가치가 그 중심이다.

반면 민간분야는 다르다. 예나 지금이나 합리성은 뒤로 밀리고 이른바 ‘갑’이 절대적이다.

그 결과 사회 전진을 견인할 미래 동력인 젊은 인재들이 민간분야를 외면한다.

지방공무원은 물론 지방공기업 등의 채용에는 젊은이들이 장사진을 이룬다. 민간경제에 대한 ‘실망’이 반영된 결과다. 그 결과 공공분야는 앞으로 나가고, 민간경제는 현실에 멈추거나 뒷걸음치게 된다.

균형과 조화. 제주 사회가 꼭 다듬어야 할 전진의 디딤돌이다. 제주라는 거대 공동체는 민(民)과 관(官)이 균형을 이루고 조화를 이룰 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그런 균형이 깨진다면 삐걱거리는 게 당연하다. 관치의 철폐를 외치지만, 뒤돌아서면 관을 붙잡고 매달린다.

민과 관의 조화는 사회 발전의 기본이다. 그런 기본이 가까이 없다는 게 제주의 문제다.

‘기본이 바로 서면 길이 절로 생긴다.’ 2500년 전 만들어진 논어에 나온 말이다.

경자년. 제주경제가 한번쯤은 되돌아봐야 할 길 아닌가.

정흥남 편집인  jhn@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