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세안, ‘경제-평화지도’ 새롭게 구축위한 ‘이정표’ 마련
한-아세안, ‘경제-평화지도’ 새롭게 구축위한 ‘이정표’ 마련
  • 변경혜 기자
  • 승인 2019.11.26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종료
30년 대화관계 넘어 '미래-경제공동번영' 합의
전략적 동반관계 담은 ‘공동비전-공동의장’ 성명 채택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구축 지지
사람·상생번영·평화 바탕 '신남방정책' 더욱 탄탄히 구축
비무장지대 국제평화지대화 구상 등 구체적 논의 이끌어내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부산 벡스코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석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마하티르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문 대통령,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쁘락 소콘 캄보디아 부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부산 벡스코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석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마하티르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문 대통령,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쁘락 소콘 캄보디아 부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 (사진=연합뉴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안 10개국 정상은 지난 30년 대화관계 수립을 바탕으로 경제공동번영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지지를 통해 동아시아의 평화증진을 위해 기여한다는 데 뜻을 모으고 26일 부산 벡스코에서 종료됐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아세안정상들은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미래발전 등을 담은 ‘평화, 번영과 동반자 관계를 위한 공동비전 성명’과 ‘공동의장 성명‘을 각각 채택하는 성과를 남겼다.

한국과 아세안의 ’경제-평화지도‘가 새롭게 구축되는 이정표가 될 것이란 평가다.
이날 오후 문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은 한국과 아세안의 관계진전을 위한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사람중심 공동체, 상생번영의 혁신공동체, 평화로운 동아시아 공동체의 3대 핵심 비전을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문재인정부의 핵심경제기조인 사람(People), 상생번영(Prosperity), 평화(Peace)이 ‘3P’를 바탕으로 한 신남방정책을 아세안 10개국 정상들과 공유해 향후 교류협력의 기반을 더욱 탄탄히 구축하는 계기가 된 셈이다.
문 대통령은 “오늘 회의에서 정상들은 ‘아시아의 협력’을 통해 평화와 번영의 동아시아 시대를 만들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인적교류가 더욱 자유롭게 확대될 수 있도록 비자제도 간소화, 항공자유화 등 각종 제도개선, 2022년까지 아세안 장학생을 2배 이상 규모로 확대해 아세안 미래인재 육성, ‘아세안 연계성 마스터플랜 2025’의 이행을 위한 인프라와 스마트시티, 금융, 환경 분야의 협력 강화, 한-아세안 협력기금 2배 증액, 2022년까지 신남방지역에 대한 ODA 2배 이상 확대된다.

이와함께 문 대통령은 “아세안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구축을 위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 아세안 주도 지역 협의체를 활용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협력키로 했다”며 “특히 우리 정부의 비무장지대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을 지지하고 공동연락사무소와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다”고 구체적 성과를 강조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종료 후 메콩강 유역의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 정상들이 참여하는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일정에 돌입했다.

<부산=변경혜 기자>

변경혜 기자  bkh@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