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속에서 제주관광이 나아가야 할 방향
위기 속에서 제주관광이 나아가야 할 방향
  • 뉴제주일보
  • 승인 2019.08.19 19: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진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회장

일본 경제보복 조치에 대한 대응으로 일본에 대한 불매운동이 확산하며 관광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본을 찾는 국민 여행객이 급감함에 따라 일본을 잇는 직항 노선이 축소되면서 일본인 관광객도 맞물려 감소하고 있다.

일본으로 나가는 내국인 관광객들을 국내로 유치할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전통적으로 방한 관광 시장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일본인 관광시장의 위축에 대한 걱정을 안 할 수 없다.

2017년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 여파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관광수지 적자가 사상 최고액인 147억달러를 기록할 정도로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해외 관광시장의 유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번 사태를 두고 업계에서는 탑승객 감소로 인한 당장의 항공업계의 적자보다는 끊어진 항공 노선을 새로 만들고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이 훨씬 더 클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막대한 비용을 들여 감소한 부분을 회복할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그마저도 쉽지 않다. 중국인 관광시장만 보더라도 중국의 방한 관광 금지 조치 이후 급감한 중국인 관광시장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중국인 관광객은 아직 절반 수준도 못 미치고 있다.

이전의 메르스 사태부터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방한 관광 금지 조치,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지금의 일본 경제보복까지 관광을 둘러싼 환경 변화가 있을 때마다 관광업계는 큰 타격을 입고 있다.

특히 제주관광업계는 영세성으로 더 크게 휘청일 수밖에 없어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나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지금까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한국 관광시장을 이끌어 온 제주관광이 이제는 정부 정책에서 외면받고 있다. 정부의 관광객 지방 분산화 정책으로 각종 정책공모 사업 지원 대상에서 배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부분은 인정되지만, 제주지역을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는 이유로 배제할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지원을 통해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관광객을 지방으로 분산되도록 연계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업계가 관광객 유치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행정적인 지원과 함께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

제주가 특별자치도로서 관광 3법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대한 권한을 제주특별법을 통해 이양받아 추진하고 있으나 정작 도움이 되는 부분은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제도 개선을 추진하더라도 중앙정부와 협의 절차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정부와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제주 실정에 맞는 제도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관광업계 의견 수렴 없이 추진되는 정책들은 업계의 경영난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지금 관광업계는 관광객 정체와 업계의 공급과잉, 끊임없이 변하는 외부환경으로 매우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내년부터 부과되는 교통유발부담금은 관광호텔인 경우 오히려 전국보다 높은 부담금을 부과하며 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이용객들이 관광객인 점을 감안하지 않은 감축 활동 이행 조건들은 감축 활동 이행을 유도해 교통혼잡을 줄이고자 하는 제도 취지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최일선에서 직접적으로 연관 있는 관광업계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한 정책 반영이 필요하다.

때마침 제주도가 향후 제주 미래 10년을 이끌어 나갈 제주국제자유도시 제3차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

이번 계획이 그동안 지적돼 온 문제와 업계의 의견들을 충분히 반영해 제주관광의 희망찬 미래를 만들어가는 청사진으로 제시되길 바란다.

우리 업계에서도 관광 서비스 개선을 통해 관광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제주관광이 되도록 지속적인 자구노력에 최선을 다하겠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