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日製) TV에 대한 추억, 그리고 2019년
일제(日製) TV에 대한 추억, 그리고 2019년
  • 한국현 기자
  • 승인 2019.07.25 1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학교(초등학교) 시절인 1970년대 초로 기억한다. 우리 동네에는 TV가 있는 집이 딱 한 곳 있었다. 일제(日製) 12치 흑백 TV다. 일본에 사는 친척이 고향에 올 때 갖고 왔다. TV가 귀한 시절이라 동네 사람들은 저녁이면 TV가 있는 집으로 모여든다. 당시 인기가 있었던 TV 드라마는 ‘여로’와 ‘전우‘ 등이다. 특히 ‘여로’ 가 방영되는 시간 TV가 있는 집은 동네 사람들로 꽉 찼다. TV 앞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쟁탈전도 살벌했다. 어떤 이웃은 염치도 없이 방영 1시간 전부터 TV가 있는 집에서 진을 친다. 지금으로 말하면 ‘민폐’인 셈이다.

TV가 있는 집에는 1년 후배가 살고 있었다. 선배나 친구들은 그를 건드리지 못했다. 그를 때리거나 무시하기라도 하면 3∼4일 동안은 TV를 보지 못 한다. 그가 “우리 집에 TV 보러 오지마”하면 낭패다. 잘못했다고 사과해야 TV를 볼 수 있다. TV라는 강력한 ‘무기’가 후배를 안전하게 보호했고 힘도 실어 주었다.

당시에는 ‘박대통령배쟁탈아시아축구대회‘가 있었다, 박정희 대통령의 호칭을 딴 대회로 흔히 ‘박스컵’으로 불리었다. ‘박스컵’이 열릴 때 TV가 있는 집은 선심을 쓴다. 집 주인은 마당 한 가운데로 TV를 옮겨 동네 사람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그 때 아시아의 축구 강국은 한국을 비롯해 버마(지금의 미얀마)와 말레이시아 등이다. 말레이시아의 골키퍼, ‘아루무감’으로 기억한다. 선방이 대단했다.

연탄재로 선을 그어 이런저런 놀이를 하고, 여름철 냇가에서 알몸으로 물놀이 하다 저녁이면 TV가 있는 집에 몰려갔던 50여 년 전 정겨운 풍경이 그립다.
1970년대 일본의 가전제품은 인기였다. 잘 만들기도 했다. 일제 TV와 전기밥솥 등이 있는 집은 부자였다. 옛날 얘기다. 지금은 달라졌다. 한국의 가전제품이 일제보다 낫다. 국산 TV는 세계적으로도 알아 준다.

일제 불매운동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대응이다. 아베의 일본정부는 강제징용에 대한 한국 대법원의 배상 판결을 빌미삼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수출 규제를 강화했다.

대법원은 지난해 10월 31일 강제징용 피해자 4명이 일본제철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1인 당 1억원씩 배상하라고 확정 판결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에 꼭 필요한 고순도 불화수소 등은 일본이 독점적으로 만드는 품목들이다. 반도체 강국인 한국에는 치명적일 수 밖에 없다.

일제 불매운동은 전국적이다. 시민단체들로 가세하고 있다. 항일독립선열선양단체연합 회원 50여 명은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을 찾아 “과거 만행에 반성 없이 도발을 일삼는 일본 정부의 행태에 분노한다”며 “경제 전쟁을 선포한 일본 정부에 대해 명분 없는 보복임을 일깨우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날 독도사랑세계연대 회원 10여 명은 소녀상 앞에서 일본 정부의 경제 보복 조치를 규탄하며 아베 총리의 사진을 짓밟기도 했다.

충북 충주시민단체연합는 지난 22일 집회를 열어 “한국 경제의 주요 산업을 공격하는 경제침략이고, 일제 불매운동은 의병전쟁이요 독립운동”이라며 “일본 제품은 사지도 팔지도 말고 우리 제품을 사용하며, 일본여행은 가지 말자”고 촉구했다.

제주지역에서도 아직까지는 집회 등은 없지만 도민들 사이에서 일본제품을 사지 말고 일본여행도 가지 말자는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정치권은 국민들의 일제 불매운동을 지켜보며 여러 말들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다분히 정략적이다. 여당과 야당은 ‘신(新)친일’ 프레임으로 상대를 공격하고 있다. 힘을 합쳐도 모자랄 판에 서로 네 탓이라며 대립각만 세우고 있다.

한ㆍ일 갈등이 계속되면서 일제 불매운동은 장기화될 것 같다. 잘못은 일본이 먼저 했다. 정부는 국제사회에 일본의 부당성을 알리고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 정치권도 싸우지만 말고 머리 맞대야 한다.
일제 불매운동이 오래가지 않았으면 하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정부와 정치권의 치열한 노력과 접근이 필요할 때다.

한국현 기자  bomok@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