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농은 곧 높은 수준의 문화다
소농은 곧 높은 수준의 문화다
  • 뉴제주일보
  • 승인 2019.07.10 1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석만.제주농협OB봉사단

흙으로 떼알구조/ 뿌리에 산소공급

자연이 살아나고/ 사람이 모여들고

소능은 순환농법/ 문화가 피어나리

노무현 대통령은 농촌으로 돌아간 첫 반딧불 대통령이었다. 누구나 살고 싶어 하는 농촌의 모델을 꿈꾸면서 친환경 생태 마을 조성에 직접 나섰다.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난 필자도 농촌은 늘 마음 깊이 그리움이 남아있는 곳이다. 그 농촌에는 기름진 흙에서 생산된 청정 먹거리, 깨끗한 물과 공기, 사람 간 정이 살아있는 농촌 마을 협동공동체 등 다원적 가치가 있었다. 그 농촌의 공익적 가치를 만든 농사법이 소농이고 이로 인해 농사를 농자천하지대본이라 했을 것이다.

특히 지난해 국제연합(UN)에서 농촌에서 일하는 소농 등의 권리에 관한 UN 선언(이하 소농권리선언)을 다수결로 채택하면서 최근 시대 흐름도 사람 논리에 의한 소농의 가치와 필요에 주목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농림어업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 농가 수가 103만 가구로 전년 대비 2%가 줄어서 100만 가구가 곧 붕괴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농촌이 소멸하고 있다.

농토도 줄고 노인은 늘고 젊은이는 줄어드는 농촌이 그야말로 말라 죽어가는 형국이다. 여기에 농가 부채, 과잉 생산, 환경 훼손, 온난화 등 어려움만 더 가중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차선책으로 농촌에서 땅 적은 사람이나 소규모 임차인도, 자금력이 없는 사람도, 농기계가 없이도 오염되지 않는 흙을 일구며 땀으로 농사짓게 하는 정책 즉 소농의 가치를 더 섬기며 소비만을 위한 생산이 아니라 순환을 생산하는 농사시스템으로 농촌공동체를 재건할 방안은 없을까 상상해보았다.

첫째, 더불어 살아가는 인간의 원형을 역사·문화 보고인 농촌공동체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소농을 중심으로 한 가족농이 지배하는 생계형 농업구조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농촌의 이런 삶의 모습이 곧 확장성 큰 자산이 될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

둘째, 소농을 국민 모두의 의제로 삼아 연중 농사가 가능한 제주농촌의 독특한 중산간 마을의 경관적 가치를 더 높이면서 또 다른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즉 시장 메커니즘을 통하지 않고도 소비자와 공유할 수 있는 농사문화 즉 시장 밖 농사란 화두도 이제 필요할 때라고 생각한다.

셋째, 생명을 존중하고 순환적인 방식의 친환경 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하여 공공성이 강한 학교, 군인, 임산부 등에 의무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농지의 본질에 맞게 이용될 수 있도록 예외 없는 경자유전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전국농지의 51%가 임차지라고 한다. 따라서 비농민 소유 농지를 지자체 등 공공에서 매입하여 낮은 가격으로 농민에게 장기 임대하는 정책도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범사회적으로 농업·농민 농촌이 가지는 사회·생태적 의미를 귀하게 여길 수 있도록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미래세대의 꿈이 농부학교나 소농 프로그램 등 자연의 품에서 무럭무럭 자랄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 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섯째, 소비자 등 누구나 찾아 즐길 수 있는 농촌문화 축제를 배양하는 것이다. 사시사철 제주도 전역 삶의 현장 곳곳에서 농민들의 입으로 표현되고 주체가 되어 오랜 전통과 문화, 그리고 현재의 삶의 노래가 담긴 메시지와 울림이 있는 축제를 발굴하는 것이다.

소농은 규모보다 자연의 섭리를 잘 익히고 그에 따르는 친환경 농사법에 가깝다. 소농은 경쟁과 발전에 지친 모든 국민에게 새로운 사람 논리에 의한 높은 수준의 농사문화다. 자본 논리에 쓰러져가는 농촌을 더 큰 재앙이 닥치기 전에 사람 논리에 의한 소농 패러다임으로 일으켜 세울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