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 ‘제벨리’
방언 ‘제벨리’
  • 뉴제주일보
  • 승인 2019.02.24 18: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기고] 김공칠.전 제주대 교수

이 방언은 한자어(중국어) ‘격별(格別)’에서 유래한다.

국어사전에는 이 말보다 각별(各別)이 보인다.

일본어에서는 격별(格別, kaku becu)이 주로 쓰인다.

지금의 중국어는 격별(格別, 유다르다)과 각별(各別, 유별하다)이 쓰이는데 둘다 성조만 조금 다를 뿐 음형은 같다(gebie, 음성기호로는 kepie).

다만 후자가 부정적으로 쓰이는 차이가 있다.

이들을 보아서 중국어의 두 가지 중에 나라마다 주로 쓰이는 게 다른데, 제주도는 그 중에 격별을 방언화하였다.

그 용법도 제벨리 출삭거린다처럼 부정적으로 쓰이고 있다.

한자어에서 어떻게 이런 방언이 형성되었는가의 경위에 대해 생각해보기로 한다.

우리나라의 한자음의 표기는 한글창제 반포(1446) 이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이전의 모습은 확실하게 알 수 없다(언어학적인 재구의 방법을 통하여 윤곽은 어느 정도 그려낼 수 있지만).

여기서 중국의 역대 한자음의 음가(학자에 따라 약간은 다르다)를 살펴 볼 수밖에 없는데, ()에 대해서는 제주도에도 흔히 (벨로, 벨방, 벨 일 등)’을 쓰므로 줄이고 격()에 대해서만 보기로 한다.

위진남북조(220~581)부터는 ’, 만당(晩唐)-오대(五代)(836~960)에는 ’, 원대(元代)(1279~1368)에는 받침 k()이 탈락하여 겨이로 변해 왔다.

어느 것이나 두자음과 주모음 사이에 반모음이 끼어 있어서 구개음화될 조건을 갖추고 있다.

우리말의 구개음화는 지름(기름), (), 져슬(겨울)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원대(元代)처럼 받침 이 없어지면 겨이저이로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본래의 한자음 은 한자음대로 ()’로 전승되면서 구개음화된 제()은 방언에서 그렇게 사용되어 굳어져 간 것이다.

여기에 부사형어미 가 붙은 형태가 제벨히제벨리로 되었다.

표기상 제벨리를 형태분할 위주로 제벨히로 표기할 것인지 단순표음 위주로 제벨리로 표기할 것인지는 좀 생각해볼 여지는 있다.

특벨리, 유벨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제주도에서 각별(各別)이 아닌 격별에서 방언화한 것도 한 특색이며 탈락이 원() 시대의 한자음의 영향인지, 보다 전시대부터 제주도에서 독자적으로 변화되어 온 것인지는 두고 생각할 일이다.

뉴제주일보  webmaster@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