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50만 제주시 주차전쟁·쓰레기 처리난 '심각'
인구 50만 제주시 주차전쟁·쓰레기 처리난 '심각'
  • 정용기 기자
  • 승인 2019.01.03 19: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시 현안 (上) 주차난·쓰레기 처리 해법은

인구 ‘50만 시대’를 맞은 제주시가 신음하고 있다. 해마다 증가하는 차량에 도심 곳곳에서는 '주차 전쟁'이 벌어지고 있고 쓰레기까지 늘어나면서 처리 시설은 한계치에 임박했다.

제주시는 ‘시민이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책을 펼치고 있다. 올해에도 주차·쓰레기 인프라 확충과 함께 대대적인 범시민 캠페인을 펼침으로써 시민이 행복한 도시에 한 발짝 다가가겠다는 목표다.

하지만 목표 달성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이에 2회에 걸쳐 올해 제주시 현안에 대해 살펴본다. 편집자주.

제주시 인구는 지난해 9월 50만335명으로 집계되면서 처음으로 50만명을 돌파했다.

불과 두 달 후인 지난해 11월에는 50만1475명으로 인구가 불어나는 등 제주시로의 인구 유입은 계속되고 있다.

차량도 날마다 늘어나면서 제주시 주차난은 그야말로 ‘전쟁’이다. 고희범 제주시장은 지난해 기자회견에서 “시민들이 주차장을 찾지 못해 외출까지 꺼려하고 있다”며 심각성을 설명하기도 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시는 공영주차장의 복층화, 공한지 주차장 조성, 자기 차고지 갖기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차량 증가 속도를 따라가기 어려운 실정이다.

쓰레기 처리 시설도 포화 상태다.

만적에 다다른 봉개쓰레기매립장은 불연성쓰레기만 매립하고 혼합쓰레기 반입을 철저히 금지하고 있다. 제주시는 요일별 배출제를 통해 재활용을 극대화한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클린하우스 혼합 배출, 야산 불법 쓰레기 투기는 여전한 골칫거리다.
 
▲도심 속 ‘주차 전쟁’ 극심=회사원 김모씨(32·제주시 노형동)는 퇴근 후 주차공간을 찾기 위해 집 근처를 빙빙 돈다. 노상 공영주차장은 일찌감치 꽉 찼고 이면도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제주지역 등록 차량은 지난해 기준 55만3578대다. 제주시에 45만61대, 서귀포시에 10만3517대가 있다. 차량 10대 중 8대가 제주시에 몰리면서 주차난은 일상이 됐다.

도내 세대당 차량 보유 대수는 1.33대를 기록, 세대별 보유 차량이 전국에서 가장 많다.

반면 제주시내 주차장은 22만여 면 수준이다. 단순 수치만 비교해도 주차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특히 건물 내 부설주차장은 전체 주차면수의 80%가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주차장 용도에 맞지 않게 불법 개조하는 사례도 끊이지 않으면서 주차난을 부추기고 있다.

주차공간 부족은 불법 주·정차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11월 적발된 불법 주·정차 단속 건수는 10만1200건. 2015년 불법 주·정차 단속 건수 8만3048건을 훌쩍 뛰어 넘었다.

주차장 부족이 불법 주·정차 증가, 단속 강화, 이면도로의 주차장화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주차공간 확대·자기 차고지 갖기 주력=제주시는 주차난 해소를 위해 주차공간 확대, 자기차고지 갖기, 일방통행로 조성 등 다각적인 시책 추진과 함께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제주시는 올해 171억원을 투입, 주차면 1027면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 차고지 증명제 확대 시행에 앞서 자기 차고지 갖기 사업을 대대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제주시는 올해 5억원을 투입해 자기 차고지 갖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주차장 300면을 조성할 계획이다. 지난해에는 이 사업으로 291면의 주차장을 조성했다. 

제주시내 주차장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부설주차장 활용도 추진될 전망이다. 지난해 지역주민들 반발 등으로 추진이 무산된 한국병원, 제주도청 인근 일방통행로 조성 사업도 주민설명회 등을 거쳐 재추진된다.

김태경 제주시 안전교통국장은 “주차장 조성만으로는 주차난 해소를 절대 해결하지 못한다”며 “주차장을 본래 목적에 맞게 사용하고 주변 주차장 이용 후 목적지까지 걸어가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시민들의 동참을 당부했다.
 
▲쓰레기 처리 능력 ‘포화’=제주시 인구 증가와 관광객 유입으로 발생한 쓰레기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도내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1300t 수준이다.

이는 2014년 976t보다 30% 이상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제주시에서만 909.8t의 생활 폐기물이 나왔다.

쓰레기 처리에 해마다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면서 행정당국은 2016년부터 요일별 쓰레기 배출제를 시행, 재활용 극대화에 나서고 있다.

인구 증가에 따른 쓰레기 증가는 불가피하기 때문에 재활용을 극대화 해 자원순환도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클린하우스 혼합 배축과 야산 불법 쓰레기 투기는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제주시 쓰레기 불법 투기 적발 건수는 577건으로, 2017년 597건과 비교해 소폭 줄어드는 데 그쳤다.

도심지 주요 클린하우스에는 요일별 배출제 도우미가 배치됐으나 이들이 없는 시간에 투기를 일삼는 경우가 잇따르고 있다.

야산에 투기되는 쓰레기 역시 현장 적발이 어려운 상황이다.

쓰레기가 늘면서 쓰레기 처리 시설도 한계치에 다다랐다. 지난해 11월부터 봉개매립장에 혼합쓰레기 반입을 전면 금지하고 불연성쓰레기만 반입하고 있으나 매립장은 만적됐다.
 
▲재활용 극대화·일회용품 사용 자제=요일별 배출제 시행 결과 제주시는 지난해 하루 평균 372.5t의 생활 폐기물을 재활용했다. 올해도 관련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재활용 쓰레기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24시간 운영되는 재활용도움센터도 올해 28곳으로 확대 운영해 분리배출 활성화에 나선다. 제주시는 올해 환경분야 기초질서 지키기 캠페인도 대대적으로 전개해 시민 대상으로 분리배출 및 일회용품 사용 자제를 유도할 예정이다.

포화 상태인 봉개매립장은 매립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운영된다. 또 이달 하순부터 광역 쓰레기 처리 시설인 구좌읍 동복매립장에 쓰레기가 조기 반입될 전망이다.

윤선홍 제주시 청정환경국장은 “쓰레기 처리는 현재 매립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을 극대화하는 큰 틀에서 다양한 사업이 추진될 것”이라며 “시민 동참을 유도하기 위해 불법 쓰레기 투기 신고 포상제를 유도하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 시책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용기 기자  brave@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