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밭길 따라 걷는 길...그 속에 삶.역사가 숨쉬네
[신년특집]밭길 따라 걷는 길...그 속에 삶.역사가 숨쉬네
  • 뉴제주일보
  • 승인 2018.12.31 1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창집의 길이야기
송악산 길
송악산 길

▲길의 시작
땅 위에 사람의 발길이 닿으면 길이 된다. 그곳이 산이건 오름이건, 또 사막이든 오지든 가리지 않는다. 그 뒤로 필요한 사람이 그 자취를 따라 가면서 길은 더 확고해지고, 그 위로 인류의 문명이 흘러 거듭되는 사이에 역사가 이루어진다.
인류 역사 상 가장 오래된 육상 교역로로 알려진 것은 ‘차마고도(茶馬古道)’다. 이 길은 중국 서남부 쓰촨 성에서 티베트와 네팔, 인도까지 4000m가 넘는 설산과 협곡을 거쳐 약 500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오래된 교역로로 한나라 때 처음 개척돼 아시아와 중국, 지중해를 연결하는 최초의 무역 육로인 실크로드(비단길)가 있다. 중국의 만리장성에서 서쪽 로마까지 1만3000㎞에 이르는 길로 2000년 동안 동서양을 잇는 무역로로 이용됐다.
이런 길들을 통해 동·서양의 교류가 시작됐고 동·서양의 각기 다른 문물과 종교, 음악, 미술, 풍습이 전해지면서 새로운 인류 문명을 탄생시켰다.
이처럼 인류는 길을 통해 다양성을 나눴으며, 그 길 위에서 역사를 이루었다.

▲제주인과 길
제주의 역사 역시 길과 함께 한다. ‘섬’이라는 특성상 제주의 길은 일찌감치 해안을 따라 조성된 마을과 마을의 교류를 위한 밑바탕이 되었으며, 새로운 마을이 들어설 수 있는 기반을 이루었다. 그리고 제주인들은 그 마을 안에 이웃과 소통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만들었으며, 이 길들은 중산간 마을까지 이어지며 제주의 핏줄을 이뤘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제주 길의 주체였던 제주인들이 길에서 소외되기 시작했다.
개발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근대화 시대에 이르러서 자동차에게 길을 빼앗겼다. 제주에서도 신작로라고 불렸던 ‘일주도로’를 시작으로 도로 확장 및 신설이 급속히 이뤄지면서 ‘길 위에서 길을 잃었다’는 자조적인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제주인의 모습이 하나둘씩 자취를 감춘 제주의 길은 생명력을 잃은 ‘도로’에 불과하다.

 

내도동 들길
내도동 들길

▲길의 부활
제주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의식의 부활과 함께 제주의 길들도 근래에 이르러 하나둘 부활하고 있다. ‘제주 올레길’이 생겨나고, 그 길이 사람들을 끌어들이면서 ‘순례·탐구·힐링’ 등 여러 가지 명목으로 길들이 늘어난다.
그 중에는 새로 만든 길도 있지만, 옛길을 복원한 곳도 상당수다. 절이나 교회 등의 종교단체들은 다투어 순례길을 만들었고, 과거 뼈아픈 일제 수탈의 현장인 한라산 둘레길을 복원하는가 하면, 테우리들이 말을 몰았던 목마장 길도 열었다.
또 유배인들이 한이 서린 유배길이나 지질을 공부하기 위한 ‘트레일’ 등 다양한 형태의 길이 모습을 드러냈다. 그 곳으로 제주인만이 아니라 세계인들의 발길이 이어진다.

 

중국 차마고도
중국 차마고도

▲제주 ‘길’ 위에 서다
기해년을 맞이하며 지금까지 걸어왔던 길들을 반추해 본다. 어떤 때는 길을 잃고 방황도 하고, 어떤 때는 수많은 갈림길에서 외로운 선택을 하면서 살아왔다. 언제나 가보지 않았던 길을 걸을 때는 설렘 반 두려움 반이었다. 그 길에서 수많은 사람과 만나고 헤어지며 열심히 걸어 왔던 지난날을 회상해보니, 걷는 것만이 길이 아니고 삶 자체가 길이었다.
올해는 다른 길들을 찾아 천천히 걸으며, 선인들의 자취를 살피고 자연과 교감하는 한편 틈틈이 사색하면서 제주의 ‘오늘과 내일’에 관해 독자 여러분과 소통하려 한다.
가시가 길을 막고 몸을 후릴지라도 선인들이 걸었던 길을 구도(求道)의 자세로 묵묵히 걸을 것이다. ‘늘 깨어있고자 하는 마음’이 일상의 안일함에 점점 무거워져 가는 내 몸을 일으켜 길 위로내몬다.
길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김창집
소설가. 본지 객원 大기자. 제주작가회의 자문위원. 사단법인 탐라문화보존회 고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제주지역대학 오름강사. 작품 : 연작소설 ‘섬에 태어난 죄’, ‘뚜럼’ 등.

뉴제주일보  cjnews@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