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비극의 역사 제주4·3도 ‘항쟁’ 명명 필요”
“70년 비극의 역사 제주4·3도 ‘항쟁’ 명명 필요”
  • 고경호 기자
  • 승인 2018.12.06 18: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3도민연대, 6일 4·3 및 여순항쟁 70주년 기념 토론회
4·3 당시 ‘호남신문’에서 취재한 기획기사 첫 공개 눈길
제주4·3과 여순항쟁 70주년 기념토론회 (고경호 기자 kkh@jejuilbo.net)
제주4·3과 여순항쟁 70주년 기념토론회 (고경호 기자 kkh@jejuilbo.net)

제주4․3과 여순항쟁의 ‘70년 비극’을 마주하는 자리에서 ‘정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제주4․3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가 처음으로 공개돼 4·3 유족들로부터 큰 박수를 받았다.

제주4·3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도민연대(이하 4·3도민연대)는 6일 제주시 호텔 허니 크라운에서 제주4·3희생자유족회 회원 등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4·3 목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회’ 및 ‘제주4·3과 여순항쟁 70주년 기념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강미경 4·3조사연구원은 “1949년 9월 14일에 발생한 목포형무소 탈옥사건 당시 600여명의 도민들이 수감돼 있었다”며 “탈옥수 413명 중 298명이 사살됐지만 제주출신 수감자들의 행방은 여전히 확인되지 않고 있다. 목포형무소에 수감됐던 도민들에 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토론에 앞서 주제발표에 나선 주철희 박사는 제주4․3을 ‘항쟁’으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 박사는 “이승만 정부는 1948년 여수에 주둔해 있던 제14연대에 제주도 초토화 작전을 하달했다”며 “그러나 14연대는 ‘동족상잔 결사반대’를 이유로 출동명령을 거부했다”고 말했다.

이어 “불의에 저항한 군인들의 봉기는 민중들의 지지를 얻으며 항쟁으로 발전했다”며 “제주4․3 역시 같은 시기에 유사한 비극을 겪었지만 여전히 항쟁이라고 불리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박찬식 제주학연구소장은 “제주4․3은 특별법이 제정되고 진상규명보고서도 발표되는 등 여순항쟁과는 다른 과정을 겪어 왔다”며 “4․3을 항쟁으로 정명하기 위한 노력은 단체보다 유족들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 희생자들의 죽음을 순국이자 제주 공동체를 위한 거룩한 죽음으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회에서 박 소장은 1948년 7월 15일부터 22일까지 당시 ‘호남신문’에서 7회에 걸쳐 보도했던 기획 기사를 소개했다.
박 소장은 “호남신문 기자단이 1948년 6월 29일부터 7월 2일까지 제주를 방문해 4·3을 특별 취재해 보도했다”며 “이 자료는 현재까지 공개되지 않은 것으로 주 박사가 발굴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주 박사는 “제주4·3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기록”이라며 “전남 광양시에서 당시에 촬영된 이경모 작가의 사진들을 디지털화하고 있다. 미발굴된 사진들이 많이 공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고경호 기자  kkh@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