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잎국을 끓이며
호박잎국을 끓이며
  • 뉴제주일보
  • 승인 2018.10.01 18: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영옥 도서출판 장천 대표

호박잎국은 내가 유독 좋아하는 음식이다. 친구네 텃밭에서 얻어온 호박잎으로 국끓이기에 도전해본다. 도전이라고 하는 이유는 어릴 적에 많이 먹어보긴 했어도 독립한 이후로는 거의 끓인 적이 없기 때문이다.

내 딴에는 어머니가 하던 대로 한다고 했다. 멸치로 국물을 내고 줄기를 한 꺼풀 벗기고 박박 씻어 초록물이 나올 때까지 마구 치댄 호박잎을 끓는 국물에 넣고 다 됐다싶을 때쯤 밀가루를 한 숫갈 풀어 두르고. 그런데 한입 먹어보니 어릴 적 그 맛이 아니다. 왜일까.

과정을 하나하나 복기해본다. 멸치로 국물을 내는 게 아니었던가. 간장이 아니고 소금으로 간을 했던가. 나중에 푼 밀가루의 양이 너무 많았던가. 된장을 조금 풀어 넣어야 했던가. 내가 호박잎국을 좋아하는 이유는 그 토속적인 맛이 내 입에 맞아서이기도 하지만 밀가루에 살짝 연해진 그 초록빛 국물 색깔이 너무 고와서이기도 하다. 색깔만은 기억 속의 그 고운 빛깔 그대로 그럴듯한 국물을 후르륵 들이키면서도 내 입은 만족할 줄 모르고 여전히 맛이 고프다.

주변에 물어보니 그 흔한 국 하나를 끓이는 방법도 집집마다 다 다르다는 걸 알게 되었다. 역시 어머니 살아계실 때 얻어먹지만 말고 직접 옆에서 배웠어야 했다. 한창 감수성이 예민하던 시절에도 부엌일이라고는 설거지가 고작이고 마늘 까는 일, 깨 빻는 일, 국솥이 끓어 넘치지 않게 저어주는 일 정도였지 음식을 직접 해본 경험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러니 요리의 순서도 양념의 기억도 확실하지가 않은 것이다. 그때는 크느라고 괜히 바쁘기도 했지만 언젠가 이 나이가 되면 그 음식들이 새삼스레 먹고 싶어진다는 사실을 미처 알지 못했다.

사실은 호박잎국만이 아니다. 고사리 육개장도, 접짝뼈국도, 한치감자볶음도 어찌어찌 흉내만 낼 뿐이지 그 맛을 재현해내지는 못하고 있으니, 그 맛이 비결이 오로지 어머니의 손맛에 대한 향수만은 아니다. 이런 음식인 경우 요리책이나 여기저기 나도는 레시피가 실은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한다. 요리비법이란 제 집 부엌, 내 어머니의 손 끝에 있는 것이니.

돌아가신 민속학자 현용준 선생의 글에는 인상 깊은 대목이 나온다. 어린 날에 몇 살 위의 누이가 콩국을 끓이던 기억이다. 한눈에 파는 사이에 왈칵 끓어 넘치는 게 콩국이다 보니 누이는 잠시도 국솥 앞을 떠나지 못하고 계속 저어줘야 했다. 어린 동생은 그 구수한 국을 빨리 먹고 싶은 마음에 누이 곁을 떠나지 못한다. 점차 국에서 끓어오르는 열기가 뜨거워 국을 젓는 누이의 손이 어쩔 줄 모를 때쯤 한순간 콩국은 용암 끓듯 파닥파닥 구멍을 터뜨리는 동시에 천지사방으로 파편을 쏘아 올리는데, 그만 누이 옆에 딱 붙어 있던 동생의 얼굴에도 명중하고 만다. 따끔한 맛을 보고 찔끔 눈물이 솟은 동생을 보고 누이는 당황하지만 그것도 잠시, 이번에는 누이의 손등에도 파편이 튀어 올라 또 놀라고, 울다가 놀라기를 반복하는 그 상황에 웃음이 터져 나오고, 이제는 그 웃음이 웃겨서 오누이는 서로를 쳐다보며 웃고 또 웃고.

마침내 밥상에 오른 콩국은 몇 컵의 콩가루와 몇 그램의 배추와 무, 몇 티스푼의 소금 등으로는 정량할 수 있는 맛이 아니다.

선생은 전기도 없이 점점 어두워져 가던 유년의 저녁시간을 이렇게 생생하게 소환해낸다. 아직 열서너 살일 어린 딸이 밭에 나간 부모를 기다리며 끓이기 만만찮은 콩국을 준비하고, 그 과정을 어린 동생이 함께 하고, 특별히 놀이도 없던 시절 사정없이 튀어 오르던 콩국파편이 재미를 주던 그런 저녁이 비단 선생에게만 있었을까.

이른바 먹빵시대라고 한다. 누가누가 맛있는 걸 많이 먹느냐, 누가누가 유명한 음식점에 많이 가보느냐, 누가누가 숨어있는 맛집을 많이 아느냐가 이 시대 가장 중요한 교양이 된 듯하다. 심지어는 누가누가 얼마나 많은 양을 먹어치우느냐가 새로운 인간형을 제시하는 듯하다. 줄을 몇 시간 서고, 접시 꾸미기가 어떻고, 인테리어가 어떻고, 셰프가 누구고, 결국 사진 몇 장 박아 올려놓고 좋아요, 부러워요 하는 반응에 만족하는 것이 주류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알고 보면 음식이란 게 그게 다가 아니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터인데도 우리는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그렇게 하염없이 함께 흘러흘러 가고 있다.

뉴제주일보  webmaster@jejuilbo.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